“오바마, 미국인 석방 별도 요청 안해”

0:00 / 0:00

앵커: 미국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억류된 미국인 석방을 위해 북한 측에 별도로 이를 요청하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미국 국무부는 북한 측의 억류 미국인 석방과 대북 비핵화 협상 재개와는 별개라는 입장을 분명히 밝혔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북한 당국은 억류한 미국인 3명 중 제프리 파울 씨를 지난 21일 전격 석방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는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가 미국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거듭되는 요청을 고려해 취한 특별조치라고 22일 관영 언론을 통해 그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그러자 일각에서는 오바마 대통령이 친서나 구두 전언 등을 통해 북한 측에 비밀리에 별도의 석방 요청을 수차례 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하지만 한 외교 소식통은 22일 미국 관리의 말을 인용해 “오바마 대통령이 공개 석상에서 북한 측의 미국인 석방을 촉구했을 뿐 북한 측에 별도의 석방 요청을 한 적은 전혀 없다”고 전했습니다.

이 소식통은 또 북한 측의 이번 파울 씨 석방과 대북 비핵화 협상 재개는 전혀 별개라는 게 미국 정부의 입장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마리 하프 국무부 부대변인은 22일 정례기자설명회에서 오바마 대통령의 별도 미국인 석방요청 관련 소문의 진위 여부에 대해서는 확인해 줄 수 없다는 입장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억류 미국인 석방과 북한 비핵화 협상은 별다른 연관성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하프 부대변인: 북한이 파울 씨를 석방한 것은 일면 긍정적인 발전이지만 우리는 다른 측면인 핵 문제와 관련해서도 긍정적인 발전을 볼 필요가 있습니다. 미국은 지금까지 접하지 못하고 있는 북한의 비핵화를 향한 조치가 필요합니다.

앞서 미국의 일부 관리가 북한의 억류 미국인 석방이 미북관계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란 취지의 발언을 하긴 했지만 파울 씨 석방과 대북 비핵화 협상 재개는 별개의 문제란 것입니다.

또 미국이 북한과 비핵화 협상을 재개하기 위해서는 북한이 협상이 시작됐을 때 진정으로 자국의 비핵화 문제를 논의할 것이라는 의지를 사전에 어떤 식으로든 내보일 필요가 있다는 게 하프 부대변인의 설명입니다.

하프 부대변인은 앞서 존 케리 국무장관도 이날 독일 베를린에서 이 같은 미국 정부의 입장을 밝혔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또 케리 국무장관이 한반도를 비롯한 동북아시아 주둔 미군 감축과 관련해 내놓은 발언에 대해서도 적극 해명했습니다.

케리 장관은 당시 기자들과 만나 북한이 진정한 비핵화 대화에 나서고 이것이 진전돼 북한의 핵 위협이 줄어든다면 미국은 한반도 주변 지역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의 감축도 고려해 볼 수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습니다.

이에 대해 하프 부대변인은 전혀 새로운 발언이 아니라고 잘라 말했습니다.

이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북핵 문제가 해결되면 해당 지역 안보상황의 변화에 따라 주둔 병력 감축 문제 등도 논의해볼 수 있다는 미국의 오래된 기존 입장일 뿐이란 설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