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회, 북 종교자유 촉구

0:00 / 0:00

앵커 : 네덜란드 출신 유럽의회 의원이 북한의 종교 자유를 위한 유럽연합과 유엔 등 국제기구의 긴밀한 협력을 재차 강조했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네덜란드의 데니스 데 용(Dennis De Jong) 유럽의회 의원은 북한의 심각한 종교 탄압 실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인식을 높이고,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도록 국제사회가 북한을 압박할 것을 주문했습니다.

데 용 의원 : 국제사회는 북한의 종교 탄압 실태를 잊지 말아야 합니다. 유럽연합은 유엔 인권이사회를 포함한 유엔 기구 등과 협력해 지속적으로 북한의 종교 자유를 촉구해야 합니다.

데 용 의원은 3일 벨기에(벨지끄) 브뤼셀의 유럽의회에서 열린 전 세계 종교 자유에 관한 토론회(State of Freedom of Religion or Belief in the World)에 발제자로 참석한 후 자유아시아방송과 가진 전화 인터뷰에서 이 같이 강조했습니다.

이날 토론회에서 소개된 유럽의회 내 종교자유 관련 단체(Intergroup on Freedom of Religion or Belief and Religious Tolerance)가 처음으로 발간한 연례보고서는 북한을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종교 탄압국으로 지목했다는 것입니다.

이 단체의 공동대표로 보고서 작성에 기여한 바 있는 데 용(de Jong) 의원은 유럽연합과 대다수 유럽연합 회원국들이 북한과 외교관계를 갖고 있지만 북한 정권과의 의미 있는 대화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따라서, 유럽연합과 회원국들은 북한의 종교 자유 억압 문제를 중국과의 정치나 인권 대화에서 거론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한국이 북한과 대화할 경우 종교 자유 문제도 함께 논의하도록 권장해야 한다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보고서는 북한의 참혹한 인권 유린을 자행한 인물에 대한 출입국 통제와 자산 동결 등 대북 제재도 북한의 종교 자유를 촉진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제시했습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지난해 북한의 인권 문제를 안건으로 채택한 것을 환영하며 앞으로 북한인권 유린 책임자를 국제형사재판소에 회부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또한 북한 인권에 대한 유엔의 보편적정례검토에서 유럽연합과 회원국들이 제시한 권고 내용이 이행되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보고서는 강조했습니다. 이를 위해 유럽연합은 유엔 총회에서 채택된 강력한 대북 인권결의 이행을 위해 역내 주요 관련국들과 긴밀히 협력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특히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UN COI) 보고서의 권고에 따라 북한의 인권 개선을 압박하기 위한 연락 단체(human Rights Contact Group for North Korea)가 결성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미국의 독립기관인 국제종교자유위원회(USCIRF)의 카트리나 란토스 스웨트(Katrina Lantos Swett) 위원장도 이날 토론회에서 특정 국가의 종교의 자유를 지키는 것은 국제사회의 도덕적 의무일 뿐 아니라 각국의 안보를 위해서도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국제종교자유위원회는 지난 4월 발표한 연례 종교자유 보고서에서 북한을 미얀마, 중국, 에리트리아 등과 함께 세계에서 종교탄압이 가장 심각한 9개 특별우려국으로 지정할 것을 권고한 바 있습니다.

보고서는 북한은 헌법으로 종교 자유를 보장한다지만 종교인을 체포, 구금, 처형하는 등 진정한 의미에서 종교 자유란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수 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는 북한 내 기독교인들이 체제위협 세력으로 분류돼 강제수용소에 수감돼 있다는 설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