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탈북자를 강제 북송하는 중국 정부를 규탄하는 300번째 집회가 1일 서울 명동에 있는 중국 대사관 앞에서 열렸습니다. 참가자들은 중국이 "선진국"답게 인권 문제도 신경써 줄 것을 호소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중국 정부는 탈북자 강제 북송을 즉각 중지하라!”
서울 명동에 있는 중국 대사관 앞. 1일 오후 2시가 되자 현수막과 전단을 손에 든 30여명의 시위자들이 중국 정부의 탈북자 정책을 규탄하는 구호를 외치기 시작합니다.
이들의 손에 들린 노란색 전단에는 북한인권법 제정과 북한의 억류자 석방, 그리고 탈북난민 북송 중지를 요구하는 구호들이 쓰여 있습니다.
벌써 300번째 집회. 북경 올림픽을 1년 앞둔 지난 2007년 8월 8일부터 6차례에 걸쳐 진행된 이 집회는 올림픽 개최 이후 2008년 9월 3일부터 매주 수요일마다 열리고 있습니다.
눈에 띄는 점은 예전과 달리 집회 참가자들의 중국 정부를 향한 발언이 이젠 상당히 완곡하다는 겁니다. 기독교 시민단체인 ‘선민네트워크’의 김규호 대표입니다.
김규호: 시진핑 국가주석님, 다시 한 번 간곡히 호소합니다. 탈북자 강제 북송을 중지해 주시고, 탈북자들이 원하는 곳으로 갈 수 있도록 허락해 주시기를 간곡히 호소합니다.
참석자들은 “중국이 세계평화의 상징인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치른 나라로서 세계에서 존경받는 선진국이 되기를 기원한다”면서 “국제난민협약 가입국으로 중국이 탈북자들을 난민으로 인정하고, 강제 북송을 중지하며, 인도적 차원에서 그들이 한국을 포함해 원하는 곳으로 갈 수 있도록 해줄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습니다.
김 대표는 “시진핑 주석도 신세대”라면서 “인권을 포함해 여러가지 국제적 가치를 잘 아는 정치인이기 때문에 올바른 결단을 내릴 것으로 믿는다”고 말합니다.
김규호: 우리가 중국을 향해서 나쁘다고만 이야기할 것이 아니라 오히려 축복하면서 '중국이 선진국으로 되길 원한다. 그런데 선진국은 다들 인권을 존중하더라. 그러니 중국도 선진국 답게 인권을 존중하면 좋겠다'는 말을 하는 거죠.
이날 집회는 제1회 북한인권자유통일주간 행사의 일환으로 진행됐습니다.
기독교 명절인 부활절을 한 주 앞두고 시작된 통일주간 행사는 “이 땅에서 가장 고통받고 있는 북한 동포를 위해 사람들에게 인권과 통일 문제가 중요하다는 점을 알리고자 기획했다”고 기독교 시민단체인 ‘생명과 인권 디아코니아’의 고환규 대표는 설명했습니다.
3월 30일부터 4월 4일까지 매일 진행되는 통일주간 행사는 23개 단체가 참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