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강제 북송 직면 탈북자 40여명”

0:00 / 0:00

MC:

중국이 알려진 것보다 훨씬 더 많은 탈북자를 억류하고 있다고 이들의 탈북에 관여한 미국의 한 인권단체가 밝혔습니다. 이 단체는 강제 북송될 탈북자의 신원을 공개하며 국제사회에 지원을 요청했습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중국 정부에 억류돼 강제 송환에 직면한 탈북자가 알려진 것보다 많은 40여 명이라고 탈북자 지원 활동을 벌이는 미국의 인권단체가 주장했습니다.

이 단체는 강제 송환에 직면한 탈북자의 수가 29~33명으로 보도됐지만, 현지 소식통과 자체 기록에 따르면 최근 중국 정부에 붙잡힌 탈북자의 수가 39명에 이른다고 미국의 다른 인권단체 관계자를 통해 26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전했습니다.

이 단체의 도움을 받던 탈북자 5명이 지난 8일 중국 선양에서 중국 공안에 붙잡혔고, 다른 단체의 구조를 받던 탈북자 7명도 이날 함께 체포됐다고 이 단체는 밝혔습니다.

자유아시아방송에 이 소식을 전한 미국의 다른 인권단체 관계자는 보안 문제로 이 단체의 이름을 밝힐 수 없다면서 중국 정부가 억류했던 탈북자 39명 중 9명이 일주일 전 투먼을 통해 북송됐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관계자는 중국에 탈북자들이 억류돼 있다는 사실을 부인한 북한의 주장이 근거가 없음을 밝히기 위해 체포된 다섯 명의 탈북자 이름을 공개한다고 밝혔습니다.

미국 인권단체의 지원을 받다 중국 공안에 붙잡힌 탈북자 5명 중 최소한 3명이 한국에 가족이 있다고 이 관계자는 덧붙였습니다.

이 관계자는 지난 8일 이 단체의 구조팀장과 함께 중국 공안에 붙잡힌 이들이 일주일 전 북송된 것으로 알려진 9명에 포함됐는지는 알 수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관계자는 국제사회의 관심을 촉구하기 위해 강제 북송에 직면한 탈북자의 신원을 공개하기로 했다면서 탈북자들의 안전을 위해 고심 끝에 내린 결정이라고 전했습니다.

한편, 중국 정부의 탈북자 강제 북송을 저지하려는 한국 정부와 국제사회의 노력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는 27일 개회된 유엔 인권이사회 정기이사회를 통해 중국 정부에 강제 송환을 중단하라고 촉구할 예정입니다.

한국 국회도 이날 탈북자 강제 북송 중단을 촉구하는 결의를 채택하며 탈북자들의 한국행을 위한 한국 정부의 강력한 외교 노력과 지원을 촉구했습니다.

인터넷을 통한 강제 송환 저지 열기도 뜨겁습니다.

한국의 탈북 청소년과 지지자들이 지난 15일부터 ‘내 친구를 살려주세요’라는 뜻의 ‘세이브마이프렌드(Save My Friend)’라는 인터넷 청원운동을 진행 중인데 27일 현재 100여 개 나라에서 15만 명이 넘는 서명을 받았습니다.

미국의 탈북자 지원단체인 링크(LiNK)도 유엔 북한인권보고관에 보내는 청원운동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링크 관계자:

“강제 북송을 막는 것은 북한 인권을 위해서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인권 개선을 위해서 반드시 막아야 합니다.”

한국과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의 중국 대사관 앞에서는 강제 북송 저지를 위한 국제 인권단체의 시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캐나다 북한인권협의회는 지난 16일 탈북자 강제북송을 반대하는 서한을 캐나다 주재 중국대사관측에 전달했으며 한국에서도 잇따라 시위가 열리는 등 중국 내 탈북자들을 출하기 위한 운동이 전세계 곳곳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