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국의 박근혜 대통령은 4일 오전 남북 이산가족의 서신 교환과 화상 상봉이 이뤄질 수 있도록 북한 측과 협의할 것을 지시했습니다. 이산가족 상봉 문제를 둘러싼 남북 간의 논의가 시작될지 주목됩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 3.1절 기념사에서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를 제안했던 남한의 박근혜 대통령.
이번에는 이산가족 상봉의 정례화를 위해 생사확인과 서신교환, 화상상봉 등을 북한과 협의하라고 직접 관련 부처에 지시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 : 통일부와 대한적십자사는 상봉 정례화는 물론 생사확인, 서신교환 화상상봉을 실현하기 위해 북한과 협의하기 바랍니다.
박 대통령의 이 같은 지시는 4일 오전 국무회의를 주재하는 자리에서 나온 겁니다.
이산가족 문제에 대한 박 대통령의 잇따른 언급은 한국 정부가 앞으로 이산가족 문제를 남북관계의 중요한 과제로 추진할 것임을 시사한 것입니다.
박 대통령이 상봉 정례화를 이렇게 서두르는 이유는 고령의 이산가족들이 헤어진 가족들을 만나지 못한 채 생을 마감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박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도 “이제는 이산가족들이 더 이상 기다릴 시간이 없다”며 “이산가족 상봉규모를 매년 6천 명 이상으로 늘려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현재 주무부처인 통일부와 대한적십자사는 관련 방안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 : 고위급 접촉에서 할지 아니면 이산가족 실무접촉에서 할지 이런 사항을 포함해서 정례화 방안 문제를 지금 유관기관 간에 협의하고 있기 때문에 이 협의가 마무리되는 대로 대북조치를 하고 여러분께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에 따라 통일부는 이번 주 중으로 관계부처 간 논의를 마무리한 뒤 이르면 7일께 북측에 양측간 접촉을 공식 제의하는 통지문을 전달할 것으로 보입니다.
문제는 북한이 이산가족 문제에 대해 그다지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북한이 바라는 금강산관광 재개와 5.24조치 해제 등을 조건으로 남한이 이산가족 정례화를 시도한다면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입니다.
한국 정부도 이에 대한 대비를 하면서 접촉을 준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