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미국의 인권단체들이 중국 정부의 탈북자 강제 북송 중단 촉구와 중국 내 탈북자 구출활동을 올해 중점 사업으로 계획하고 있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미국의 대북인권단체 연합체인 ‘북한자유연합’이 중국 내 탈북자들의 강제 북송을 막고 이들을 안전하게 구출하는 것을 2013년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고 3일 밝혔습니다.
이 단체의 수잔 숄티 대표는 지난 1일 미국 하원에서 ‘2012 북한 어린이 복지법안(North Korean Child Welfare Act of 2012 H.R. 1464)’이 만장일치로 통과된 것을 대환영한다면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숄티 대표 : 법안이 만장일치로 통과된 것은 매우 중요한 사실을 시사합니다. 미국 정부가 '적극적(proactive)'으로 나서서 기아와 박해를 피해 탈출해 나온 북한 주민에 대해 염려하고 돌보겠다는 의지를 반영하기 때문입니다.
숄티 대표는 지금까지 미국 정부가 탈북자 관련 문제가 발생하면 그에 대처하는 ‘소극적(reactive)’인 탈북자 보호 정책을 시행한 것에 비해 이번 법이 제정되면 미국이 앞장 서서 탈북 어린이들의 복지와 인권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숄티 대표는 중국 내 탈북자 구출활동은 물론 중국 정부의 탈북자 강제 북송정책 중단을 촉구하는 다각도의 노력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숄티 대표는 탈북자를 죽음으로 내모는 중국 정부의 비인도적인 탈북자 강제 북송 정책에 중국의 학생 등 의식있는 계층은 심한 반감을 갖고 있다면서 중국 내 탈북자 인권 개선을 위해 이들의 도움을 기대했습니다. 숄티 대표는 강제 북송된 탈북자가 실제로 겪은 고초를 중국어로 적어 이들 의식있는 중국인들에게 배포하는 등 중국 정부의 비인도적인 탈북자 강제 북송 정책을 중국인에게 알리고 이들의 도움을 요청할 계획을 밝혔습니다.
숄티 대표는 북한에서 정권의 탄압에 대한 주민들의 불만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주민에 대한 박해가 심해지면서, 북한 당국이 국경지대에서 탈북자 단속을 강화했다면서 중국 내 탈북자 보호에 주력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미국 북한인권위원회의 그렉 스칼라튜 사무총장은 미국 오바마 대통령이 ‘2012 북한 어린이 복지법안’에 서명하면 중국 내 탈북자 보호 활동에 새로운 장이 열리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스칼라튜 사무총장 : 저희는 올해도 계속해서 중국 내 탈북자 보호에 많은 관심을 가질 것입니다. 미국 의회가 제3국 탈북 어린이 복지와 인권 촉진법을 통과시켜 중국 내 탈북자 보호 활동과 관련한 새 국면을 맡게 됐습니다.
워싱턴 인근 탈북자를 중심으로 한 대북인권단체 ‘재미탈북민연대’의 조진혜 대표도 자유아시아방송에 북한 주민 특히 중국 내 탈북자에게 자유를 찾아주는 것을 최우선 목표로 삼고 있다고 지난달 31일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또한 미국 국립민주주의기금(NED)의 칼 거쉬먼(Carl Gershman) 회장도 최근 열린 북한인권행사에서 북한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을 고려할 때 미국은 중국과 북한의 인권 문제를 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