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설 전에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열자는 남측의 제안에 북측은 아직 답을 주지 않고 있습니다. 설이 한 달여 밖에 남지 않아 상봉 행사를 열기에는 시간상으로 매우 촉박한 상황인데요. 그러나 남측 정부는 16일 "이산가족 상봉 제의는 아직 유효하다"며 희망의 끈을 놓지 않았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남측 정부가 북측에 이산가족 상봉을 제안한 것은 지난해 12월 29일입니다. 대통령 직속 기구인 통일준비위원회의 명의로 남북대화 제의를 하면서 대화의 핵심 의제로 이산가족 상봉을 꺼냈습니다.
이산가족 상봉에 대한 남측 정부의 의지를 엿볼 수 있는 대목입니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12일에도 신년 기자회견을 통해 이산가족 상봉의 필요성을 언급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 : 이번 설을 전후로 이산가족 상봉이 이뤄질 수 있도록 북한이 열린 마음으로 응해 줄 것을 기대합니다.
이렇게 대통령까지 나섰지만, 북측은 아직도 이렇다 할 답을 주지 않고 있습니다. 올해 음력설은 2월 19일입니다. 이제 한 달여 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과거의 예를 본다면 100명 규모의 상봉 행사를 치르기 위해서는 적어도 한 달 가량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이산가족 상봉 신청을 받고 추첨을 통해 명단을 선발하고, 또 건강 검진과 북측 가족들의 상봉 의사까지 확인하려면 한 달도 부족한 시간입니다.
그런 점에서 다음 주 정도까지는 결론이 나야 합니다. 남측의 통일부는 16일 정례회견을 통해 “이산가족 상봉 제의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밝혔습니다.
임병철 통일부 대변인 : 설 계기 이산가족 상봉을 하자는 우리 정부의 제의는 여전히 유효합니다. 그래서 앞으로 남북 간 합의가 된다면, 그리고 또 상봉 행사 개최가 확정되는 즉시 우리 정부는 상봉 행사를 위한 준비를 시작해 나갈 계획입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상황을 볼 때 설 계기 이산가족 상봉은 어렵다는 의견이 지배적입니다. 우선 북측이 남북대화 전제조건으로 한미연합 군사훈련 중단을 내걸었지만, 한미 양국은 2월 말 예정대로 진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해 류길재 통일부 장관은 16일 한국중등교장협의회 동계연수회 특강에서 남북대화 전제조건을 제시하는 북측 당국을 비난하며 대화 제의를 수용하라고 촉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