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가족 문제 해결이 우선”

0:00 / 0:00

앵커 : 한국 정부가 3월부터 이산가족에 대해 전면적으로 실태조사를 벌인다는 소식에 남쪽의 이산가족들은 반가움을 나타내면서도 생사확인 등 구체적인 해결 방안이 나오지 않는 것에 대해 아쉬움을 나타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이산가족들은 해마다 그 수가 급격히 줄고 있습니다. 남은 사람들도 대부분 75세 이상의 고령이라 남은 장래를 예측하기가 어렵습니다.

이 때문에 남한의 통일부는 최근 대통령 업무보고에서도 “이산가족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홍용표 장관: 이산가족들의 사연과 기억을 소중히 보존하고 전시 등 문화행사를 통해 공감대를 넓혀가는 분단기억의 보존 및 승화 사업도 실시할 예정입니다.

뿐만 아니라 통일부는 오는 3월부터 6월까지 이산가족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벌일 계획입니다. 통일부는 우선 생존 이산가족 6만5천여 명을 대상으로 1차 전화조사와 2차 방문조사를 한다고 밝혔습니다.

통일부는 또 이번 실태조사 과정에서 유전자 검사나 영상편지 제작에 참여를 희망하는 이산가족들의 신청도 받기로 했습니다. 앞으로 남북 가족 간에 일어날 수 있는 여러 법적 분쟁에 대비하는 목적도 있다고 통일부 측은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정작 이산가족들은 통일부에서 이산가족 문제를 우선시한 것에 대해 반가워하면서도 상봉 정례화와 서신교환 등 이산가족 문제의 근본적 해결 방안이 나오지 않은 것에 대해 아쉬움을 나타냈습니다.

이상철 일천만이산가족위원회 위원장: 남북 당국회담이 열리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저희 일천만이산가족위원회는 올해 북측의 민간단체 관계자들을 만나서 이산가족의 근본적인 문제인 생사확인 소재부터 알아보려고 합니다.

통일부 자료에 따르면 북쪽 가족과 교류방법으로 생사확인을 선호한다는 응답자가 10명 중 4명으로 가장 많습니다. 현재 생사를 아는 이산가족은 5% 정도에 불과합니다.

민속명절인 설날을 앞두고 이산가족들은 남북 적십자회담 등이 열려 이산가족 문제의 근본적 해결 방안이 논의되길 희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