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남측이 제시한 이산가족 상봉 행사 일정에 대해 북측은 28일에도 묵묵부답입니다. 이로써 남측이 29일에 갖자고 제안한 실무접촉은 무산됐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측은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금강산에서 2월에 갖자는 남측의 제안에 이틀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지난 27일 남측은 상봉 일정을 2월 17일부터 22일까지로 하자고 북측에 제안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북측이 28일에도 묵묵부답이어서, 남측이 29일에 갖자고 제안한 당국간 실무접촉은 사실상 무산됐습니다.
남측의 2월 상봉 제의에 북측이 적극 호응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전망은 하루 전부터 강하게 대두됐습니다. 남측이 28일 서해에서 실시하기로 계획한 군사훈련에 대해 북측이 27일 “엄중한 후과”를 언급하며 중단할 것을 요구했기 때문입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이번 훈련은 “지난해 계획된 것”이라면서 북측의 위협을 일축하는 내용의 전통문을 보냈다고 28일 밝혔습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 전통문에는 금번 해상 사격훈련은 우리 영해에서 정례적으로 실시하는 정당한 훈련으로, 이로 인한 이산가족 상봉이 영향을 받아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이날 남측은 예정대로 군사훈련을 실시했고, 북측은 특이 동향을 보이지 않았다고 한국의 국방부 관계자는 말했습니다.
이산가족 상봉 준비를 위한 실무접촉이 무산됨에 따라 다음달 17일부터 상봉 행사를 가지려던 남측의 계획에 차질이 생기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 정부는 일단 29일까지 북한의 공식 입장을 기다려본다는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한 실무준비는 2주일 정도면 끝나기 때문에 이산가족 상봉 행사는 북측의 동의가 있으면 예정대로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이 통일부의 설명입니다.
애초 북측은 28일 오후 4시 판문점 연락관의 근무 연장을 먼저 제의해 이산가족 상봉 문제와 관련한 입장을 남측에 전할 것으로 관측됐습니다. 그러나 북측 연락관은 오후 6시10분께 남측과의 통화에서 “오늘은 전달할 내용이 없다”며 “철수하자”고 말했습니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 같은 일이 발생한 데 대해 “북측 내부의 입장 조율이 덜 되었을 수 있다”고 추정했습니다.
이산가족 상봉은 이명박 정부 들어 남북관계가 얼어붙으면서 지난 3년 4개월 동안 이뤄지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