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중순 이산가족 상봉 계획 차질

0:00 / 0:00

앵커: 북한이 다음달 금강산에서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개최하자는 남한의 제안에 29일에도 침묵했습니다. 이로써 2월 상봉 행사 계획에 차질이 생기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남측이 제안한 이산가족 상봉 행사의 날짜를 놓고 북측이 묵묵부답인 상태가 사흘째 이어졌습니다. 17에서 22일까지 금강산에서 행사를 갖자는 남측의 제안에 북측이 아무런 대응을 하지 않고 있는 겁니다.

남측은 우선 북측의 태도가 불만입니다.

박수진 통일부 부대변인: 북한 측이 우리 측의 설 계기 이산가족 상봉 제안을 수용하고도 이산가족 상봉행사 준비에 불분명하고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에 대하여 유감을 표명하였습니다.

박 부대변인은 “북측이 진정으로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하려는 의사를 가지고 있다면 우리 측이 제시한 상봉일자 등 상봉행사 개최에 대한 입장을 분명하게 밝혀줄 것을 촉구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남측의 이 같은 입장은 대한적십자사 총재 명의의 통지문 형식으로 북측에 전달됐습니다.

하지만 북측은 29일 오후 4시 판문점 연락관 업무 마감 때까지도 상봉 행사와 관련한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습니다.

통일부는 30일 시작되는 설 연휴기간 “연락관의 근무 계획은 없다”고 밝혔습니다. 남북 연락관 통로는 다음주 월요일인 3일부터 다시 열립니다.

이에 따라 2월 말 한미 연합 군사훈련 전에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성사시킨다는 남측의 계획에도 차질이 빚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애초 남측은 29일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을 하고 설 연휴 직후 금강산에 실무진을 보내 이산가족면회소와 금강산 호텔 등 관련 시설의 상태를 점검할 계획이었습니다.

하지만 늦게라도 북측이 응답을 해 온다면 원래 계획대로 상봉행사를 갖는 게 여전히 불가능하지는 않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통일부 당국자는 “원래 계획과 4-5일 차이가 나지만 아직은 큰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다음주 전반이 지나버리면 17일부터 22일 일정으로 상봉행사를 개최하는 건 어렵게 될 수 있다”고 이 당국자는 덧붙였습니다. 행사 준비에는 최소 2주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이 당국자는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