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남북한이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실무접촉을 5일에 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앞으로 남은 과제는 실제 상봉 날짜를 잡는 일입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측은 3일 오전 판문점 연락관을 통해 “5일 또는 6일에” 판문점에서 적십자 실무접촉을 갖자는 내용의 전화 통지문을 남측에 보냈습니다. 17일에서 22일 사이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하자는 남측의 제안에 북측이 일주일만에 응답한 겁니다.
한국 정부는 이를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면서 “5일에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을 갖자”는 내용의 전화 통지문을 북측에 보냈고, 북측은 이에 동의한다는 내용으로 답신했습니다. 남북이 이처럼 적십자 실무접촉 날짜에 합의함에 따라, 실제 상봉 행사의 일정을 정하는 게 숙제로 남았습니다.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 (이산가족 상봉) 날짜는 실무접촉이 개시되면 북측과 협의를 해 봐야 되겠습니다만, 우리 정부는 이산가족 문제의 시급성을 고려해서 될 수 있으면 제일 빨리, 최대한 빨리 개최할 수 있도록 준비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한국 정부는 한미 연합 군사훈련이 시작되기 전에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갖자는 입장입니다. 따라서 남측은 5일 실무접촉에서도 17부터 5박6일간 상봉 행사를 개최하자는 제안을 북측에 다시 전달할 것으로 보입니다.
북측은 3일 남측에 보낸 통지문에서 상봉 행사 일정과 관련해서는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북측은 최근들어 키 리졸브 연습 등 한미 군사훈련을 중단하라는 요구를 거듭 하고 있기 때문에 남북 실무접촉에서도 똑같은 말을 되풀이할 것으로 남북문제 전문가들은 전망했습니다. 다시 말해, 이른바 ‘북침 연습’인 한미 연합훈련을 앞두고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할 수는 없다는 맥락의 주장을 북측이 펼칠 것으로 보인다는 뜻입니다.
한미 연례 군사훈련은 2월말부터 4월말까지 진행됩니다. 남북 실무접촉에서 북측은 이 같은 한미간 일정과 날씨 문제 등을 거론하며 이산가족 상봉 일정을 수정 제의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문가들은 내다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