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향민 “이산가족 정치 이용 배격”

0:00 / 0:00

앵커 : 음력 설을 계기로 한 이산가족 상봉이 사실상 무산된 가운데 이북이 고향인 실향민들은 이산가족 상봉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북한에 대해 강하게 비난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반도 최대 민속명절인 설날이 2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지난해에는 금강산에서 설계기 이산가족 상봉이 이뤄졌지만, 올해는 남북대화가 열리지 못하면서 사실상 무산됐습니다.

이에 대해 이북 실향민들은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을 인도주의가 아닌 정치적인 문제로 취급한다”며 강하게 비난했습니다.

실향민들은 “이산가족 상봉이 정치적으로 이용될 바에는 차라리 상봉행사를 하지 않는 편이 낫다”며 지난달 29일 일간지 신문(조선일보) 광고에 “정치적 목적의 이산가족 상봉을 거부한다”고 글을 실었습니다.

광고를 낸 이북도민회중앙연합회 측은 “오죽했으면 그랬겠냐”며 분노했습니다.

김동윤 이북도민회중앙연합회 부장 : 고작 100명 만나는 상봉행사마저 정치적 조건을 달아 흥정하는 북한의 작태에 분노를 감출 수 없고요. 상봉 행사가 더는 정치적 목적에 의해 끌려다녀서는 안 된다는 의미에서 우리 정부에 보내는 글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북도민회가 바라는 것은 전제조건 없는 이산가족 상봉입니다. 특히 상시 상봉을 위한 상설면회소 설치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이산가족의 전면적인 생사확인이 필요하다는 게 이북도민회 측의 설명입니다.

김동윤 이북도민회중앙연합회 부장 :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며 생색내고, 또 챙길 것만 챙기려는 행동을 보여왔습니다. 이산가족들에게 상봉만큼 중요한 것은 없지만, 지속적인 만남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이와 관련해 통일부의 한 관계자는 “설계기 이산가족 상봉행사가 이뤄지길 희망했지만, 북한의 무응답으로 사실상 어려워졌다”며 “이제는 빠른 시일 내에 성사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상황을 볼 때 이산가족 상봉이 4월 이전에 열리기는 쉽지 않을 전망입니다. 북한이 남북대화의 걸림돌이라고 주장하는 한미연합 군사훈련이 3월부터 시작돼 한 달 넘게 진행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