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이 한미합동군사훈련의 중단을 요구하며 상봉행사 개최 합의의 재고 가능성을 언급했음에도 불구하고 상봉을 위한 준비는 예정대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남북은 6일 밤 판문점 연락통로를 통해 상봉 불참자 명단 등을 최종 교환한 뒤 남측 85명, 북측 95명으로 이산가족 상봉자 명단을 확정했습니다.
남측은 지난해 96명의 상봉이 확정된 상태였지만, 그 사이 사망과 건강악화 등의 이유로 11명이 상봉을 할 수 없게 됐습니다.
북측도 지난해 교환한 상봉 명단보다 5명이 줄었습니다.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 : 우리 측은 어제 오후 늦게까지 우리 측 상봉 대상자의 상봉 의사를 재확인하고, 건강검진을 실시하는 절차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런 가운데 상봉행사 준비를 위해 남측의 시설 점검단 64명이 7일 오전 금강산으로 들어갔습니다.
이들 대부분은 오는 20일 이산가족 상봉행사 전까지 금강산 현지에 남아 상봉행사 준비를 철저히 할 예정입니다.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 : 기술단은 이산가족 면회소, 금강산 호텔, 외금강 호텔 등 이번 상봉행사에 사용되는 시설 전반을 점검한 후 금강산 현지에 체류하면서 시설 개·보수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한편, 남한의 박근혜 대통령은 이산가족 상봉과 관련해 다시 한 번 신뢰를 강조했습니다.
박 대통령은 7일 청와대에서 열린 중앙통합방위회의에서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 합의를 지켜야 한다”고 거듭 밝혔습니다.
박근혜 : 북한은 또다시 이산가족들의 가슴에 큰 상처를 주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박 대통령은 아울러 “이번 이산가족 상봉을 계기로 남북관계의 물꼬가 트이고 평화와 공동발전의 새한반도로 나가게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북한의 도발에 대해선 “단호하게 응징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습니다.
국무총리가 의장인 이 회의를 대통령이 직접 주재한 것은 3년만으로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앞두고 북한의 도발 위협에 면밀히 대처하기 위한 의지로 해석됩니다.
앞서 북한은 6일 국방위원회 정책국 대변인 성명을 통해 한미군사훈련 중지를 거듭 요구했습니다.
그러면서 김정은에 대한 비방중상을 계속하면 남북 간의 합의 이행을 재고하겠다고 위협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