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이산가족상봉촉구결의안을 미국 의회에 제출한 한국전 참전 의원들은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한국 방문 전에 결의안 채택 절차가 마무리 되길 희망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한인이산가족들도 참전 의원들을 지원하기 위해 발 벗고 나섰습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이산가족상봉촉구결의안 (Encouraging reunion of divided Korean American families)을 제출한 찰스 랭글 하원 의원의 대변인은 오바마 대통령이 한국을 방문하는 시기에 맞춰서 결의안이 채택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12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말했습니다.
찰스 랭글 의원 대변인 : 한 달여 밖에 시간이 남지 않았지만, 미국 대통령이 한국을 방문하는 4월 말 전에 결의안이 채택되도록 동료의원들을 설득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한인 이산가족이 북한의 가족과 만나도록 북한이 노력해야 한다는 결의안은 지난 6일 찰스 의원을 비롯한 4명의 한국 전쟁 참전 의원들에 의해 제출됐습니다.
랭글 의원의 대변인은 결의안이 미국 하원의 외교위원회에 제출된 상태이며 지난 11일부터 하원 의원들의 지지 서명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결의안이 채택되려면 하원의 해당 상임위인 외교위원회를 거쳐 하원 전체 투표를 통과해야 하고 상원에서도 비슷한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랭글 의원 측은 오바마 대통령이 아시아를 방문하는 4월 22일까지 40여 일 밖에 남지 않았지만 정치적인 논란이 없는 결의안인 만큼 60년 이상 떨어져 살아온 가족을 다시 만나도록 노력하자는 결의안의 취지를 잘 이해시키면 결의안 상정과 투표 일정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
결의안을 발의한 참전군인 출신 의원은 민주당의 찰스 랭글, 존 코니어스, 공화당의 샘 존슨, 하워드 코블 등 4명입니다.
한국전 참전 의원들은 최근 한국의 박근혜 대통령이 북한에 대해 이산가족 상봉을 정례화하자는 제안을 한 것을 환영하고 미국에 사는 한인들도 가족 상봉을 할 수 있도록 북한 당국에 촉구하기 위해 결의안을 제출했다고 밝혔습니다.
‘한인 이산가족 상봉촉구결의안’은 한반도 분단으로 1천만 명의 한국인이 서로 떨어져 살고 있고 이 가운데 일부는 미국 시민권자라며 남북한 간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간간이 열리고 있음에도 한국계 미국인은 배제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한편 미국의 한인 이산가족들도 오랜만에 미국 정치권에서 이산가족상봉문제를 논의하는 것에 환영하면서 하원 외교위원회 소속 의원을 중심으로 결의안의 지지를 촉구하는 편지 보내기 활동을 시작했다고 밝혔습니다.
전미이산가족상봉추진위원회의 이차희 사무총장은 미국 동부의 조지아와 동북부의 미시건과 뉴욕, 그리고 서부의 택사스와 캘리포니아 주 등 한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의 상봉추진위원회 회원들이 미국 의회 의원들에게 결의안 지지를 촉구하는 편지를 보내거나 의원 사무실에 전화를 걸고 있다고 이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