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박근혜 대통령이 외교부와 통일부로부터 2013년 업무보고를 받았습니다. 통일부 업무보고에서는 이산가족 상봉에 대한 문제가 거론되는 등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나왔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연일 도발 수위를 높이고 있는 가운데 외교부와 통일부는 27일 오전 청와대에서 박근혜 대통령에게 2013년 업무계획을 보고했습니다.
업무보고에서 두 부처는 새 정부의 대북정책의 틀인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구체화 방안을 내놨습니다.
먼저 외교부는 북핵 문제의 진전과 이를 위한 주변국과의 외교 강화에 힘쓰겠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북한에 대해선 압박과 대화를 동시에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통일부는 튼튼한 안보와 한반도 신뢰구축을 통해 남북관계를 이끌겠다고 했습니다.
류길재 통일부 장관 : 첫째 인도적 문제의 실질적 해결 둘째, 당국 간 대화 추진 및 합의 이행 제도화, 셋째 호혜적 교류협력의 질서 있는 추진..
남북 간 신뢰 진전에 따라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적십자회담을 적절한 시기에 북측에 제의하겠다는 뜻도 밝혔습니다.
류길재 : 적절한 시기에 그야말로 지금과 같이 엄중한 상황을 벗어난 상태가 되어야 하겠죠. 그리고 나서도 우리가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해서 이산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액션에 들어갈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북한 핵 문제에 대해선 역시 단호했습니다.
류길재 : 박근혜 정부는 북핵을 용납할 수 없다는 것을 기본적인 입장으로 가지고 가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북핵을 불용한다는 것은 앞으로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통해서..
통일부는 또 업무보고에서 개성공업지구의 남측 체류자들의 보호에 만전을 기하고 탈북자 정착 지원에도 신경을 쓰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밖에도 통일부 업무보고에는 국제기구를 통한 취약계층 지원과 민간단체의 지원품목 확대 등의 추진 계획이 들어 있습니다.
한편, 이날 업무보고를 받은 박근혜 대통령은 정책추진의 원칙과 일관성을 강조하면서 “국민중심, 현장중심의 국정운영 철학에 맞춰 외교부와 통일부도 적극적인 변화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박 대통령은 특히 남북관계에 있어선 “서두르지 말고 벽돌을 하나하나 쌓듯이 신뢰를 바탕으로 남북관계를 발전시키고, 지속 가능한 평화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