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가족 상봉 제기 방법 고민 중”

0:00 / 0:00

앵커: 한국 정부의 한 당국자는 "남북 간 이산가족 상봉을 어떤 방법으로 제기할지 고민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8.15 광복절을 한 주 앞두고 나온 발언이라 주목됩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8.15 광복절 대통령 경축사에서 남북관계와 관련해 이산가족 상봉 문제가 다시 제기되지 않겠느냐는 추정이 나오고 있습니다.

류우익 통일부 장관은 지난달 25일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에서 “8.15 광복절이나 추석을 계기로 기존의 상봉 제안이 유효하다는 것을 알리고, 북한이 호응해오도록 촉구할 생각”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에 따라 남한 정부는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추석 즈음에 갖자고 북측에 제안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입니다.

이 제안을 8.15 경축사를 계기로 하려는 것 아니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통일부는 구체적 답변을 내놓지 않았습니다.

박수진 통일부 부대변인: 8.15 광복절 축사 등 계기로 어떤 발언이 있을지 궁금해 하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현재로서 제가 이 자리에서 지금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없고요. 검토 중에 있다는 정도만 말씀드리겠습니다.

이산가족 상봉을 다시 제안한다고 하더라도 북측이 호응할지는 미지수입니다. “이명박 정부와는 상종하지 않겠다”는 게 북측의 입장이기 때문입니다.

한국 정부는 이산가족 상봉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적십자 실무 접촉을 갖자고 지난 2월 북측에 제안한 바 있지만, 북측은 응하지 않았습니다.

이명박 정부 들어 이산가족 상봉은 2009년 9월과 2010년 10월 단 두 차례만 성사됐습니다.

한편, 남쪽에 있는 이산가족은 고령화로 인해 매년 3-4천명이 사망하고 있습니다.

지난 6월 말 현재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등록된 이산가족 12만8천713명 가운데 생존자는 7만7천122명, 사망자는 5만1천591명으로 2010년 말에 비해 생존자가 5천355명 줄었습니다.

생존자 가운데 70세 이상 고령자 비율은 79.6%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