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미국 국무부의 로버트 킹 북한인권특사가 인권유린 가해자들에 대한 제재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미국 국무부는 북한의 인권 유린을 다각도로 검토해 제재 대상을 밝혀낼 것이라고 로버트 킹 북한인권 특사가 2일 강조했습니다.
킹 특사 : 국무부는 미국 입법 절차에 따라 북한의 인권 유린 가해자 개개인을 밝혀내고 제재를 가할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납치 문제를 포함해 인권 유린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킹 특사는 이날 미국 워싱턴의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서 열린 북한인권 개선을 위한 한∙미∙일 3국의 협력 방안에 관한 토론회에서 이 같이 밝혔습니다.
킹 특사는2014년 3월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 보고서 발간 후 북한이 국제사회의 인권 압박에 반박하기 위해 여러 시도를 했지만 소용이 없자 유엔의 인권 무대에 참석하지 않겠다고 통보했다고 말했습니다.
킹 특사 : 지난 3월 스위스 제네바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북한 인권 문제가 제기 되었을 때 북한 대표단은 회의장에 들어오지 않았습니다. 북한의 인권 기록에 대해 유일하게 옹호하는 당혹스러운 상황을 원치 않았던 것입니다. 건물 안에는 안에는 있었죠. 저희가 만났으니까요.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 보고서가 발간된 지 수 개월 후인 2014년 8월에는 북한 리수용 외무상이 15년 만에 처음으로 유엔총회에 참석해 ‘인권’을 언급하고, 다시 그 해 10월 장일훈 유엔주재 북한대표부 차석대사가 미국 외교협회(CFR) 주최 북한인권 토론회에 참석하는 등 보고서 내용을 반박하기 위한 이례적인 인권 행보를 보였지만 국제사회의 지지를 얻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킹 특사는 유엔의 대북 인권 결의 채택을 위한 투표 과정에서 반대표를 던진 벨라루스나 짐바브웨와 같은 국가들은 자체적으로 인권에 문제가 있는 국가라고 덧붙였습니다. 이들 국가들도 북한의 인권 유린을 옹호한 것이 아니라 개별 국가의 인권 상황을 지적하는 것에 대해 반대했다는 설명입니다. 킹 특사는 그러면서 올해 북한인권 결의는 투표 없이 만장일치로 채택됐다고 강조했습니다. 북한에 대한 인권 압박을 지속해 나가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한국의 이정훈 인권대사도 북한이 인권유린과 핵과 미사일 도발 등으로 인한 이익보다 대가가 크다는 것을 느끼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대사 : 북한의 인권에 대한 제재뿐 아니라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로 인한 여러 제재가 이행되고 있습니다. 북한의 인권유린에 대해서도 더 이상 용인할 수 없다는 분명한 메시지를 보내기 위해 제재를 강화해야 합니다.
이 대사는 정치범 수용소 철폐나 외국인 납치 피해자 송환 등의 북한의 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을 한층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