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번 주말 미국의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중국의 시진핑 국가주석이 정상회담을 갖습니다. 최근 북송된 탈북고아 등 탈북자 문제도 다뤄질 지 주목됩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미국 국무부의 젠 사키 대변인은 3일 정례기자설명회에서 오는 7일부터 미국 캘리포이나주 휴양지 란초 미라지에서 열리는 미중 정상회담에서 인권 문제도 다뤄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젠 사키 대변인: 이번 정상회담에서는 사이버 안보 문제와 인권 문제, 또 양국 간 경제대화 등 다양한 의제가 다뤄질 것으로 봅니다.
사키 대변인은 북한 등 특정 국가를 구체적으로 지적하진 않았지만 이번 미중 정상회담에서 중국의 인권 문제를 비롯해 그와 관련된 탈북자 강제 북송 문제도 논의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 정부 관계자는 미국이 최근 9명의 탈북고아 강제 북송 문제에 관심이 높은 만큼 이번 주말 정상회담에서 미국 측이 탈북자 문제를 의제에 올리거나 공식 의제는 아니더라도 어떤 식으로든 중국 측에 메시지를 전달할 가능성이 높다고 2일 한국 언론에 밝혔습니다.
앞서 국무부의 사키 대변인도 지난달 31일 정례기자설명회에서 미국 정부가 최근 북송된 탈북고아들과 관련한 상황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면서 중국 등 주변국들이 유엔 난민기구 등과 협력해 자국 영토 내 탈북자들을 보호할 것을 거듭 촉구했습니다.
미국 백악관 측도 최근 정례기자설명회를 통해 이번 회담에서 미중 정상이 북한의 위협 등 안보 문제 뿐 아니라 인권 관련 문제도 다룰 것이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중국 외교부의 훙레이 대변인은 3일 정례기자설명회에서 최근 탈북고아 9명 북송 사태와 관련해 중국은 어떤 나라로부터도 이들에 대한 송환 협력 요청을 받지 않았다면서 이들이 지난달 27일 합법적 여권과 비자를 소지하고 중국에 들어왔다가 28일 북한으로 출국했고 중국 출입국 당국은 법에 따라 이들의 통과를 허용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한국 외교관리는 3일 중국 베이징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제6차 한중 고위급 전략대화에서 중국 측에 최근 북송된 탈북고아 문제를 거론했습니다.
한국 외교부의 김규현 제1차관은 이날 장예쑤이 중국 외교부 상무부부장과 만나 “최근 탈북자 9명이 본인 의사에 반해 강제 북송되는, 있어서는 안될 일이 발생했다”면서 “인도주의적 견지에서 이들 생명과 안전이 보장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에 대해 중국 측은 자국의 국내법과 국제법, 또 인도주의 원칙에 따라 탈북자 문제를 타당하게 처리한다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