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북 대화 때 ‘인권’ 최우선시해야”

0:00 / 0:00

앵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가 북한과 대화를 할 경우 반드시 북한의 '인권' 문제를 최우선 의제로 삼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자는 북한과의 대화에서 핵은 물론 ‘인권’문제를 반드시 제기해야 할 것이라고 국제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의 필 로버트슨(Phil Robertson) 아시아담당 부국장이 10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로버트슨 부국장 : 미국 국무부와 국방부 등은 트럼프 대통령 당선자 인수팀에 북한의 '인권' 문제가 북한과의 모든 대화에서 '중심의제'가 되어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알려야 할 것입니다.

로버트슨 부국장은 트럼프 대통령 당선자가 선거 유세 기간 중 북한의 핵 문제와 관련해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과 직접 대화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고, 이어 북한의 대외선전매체 ‘조선의 오늘’은 트럼프 후보에 대해 ‘선견지명 있는 대통령 후보감’이라는 견해를 내놓았다며 이 같이 말했습니다.

로버트슨 부국장 : 트럼프 후보는 북한 인권에 대한 발언을 전혀 하지 않았습니다. 북한 인권에 어떤 입장인지 알 수 없습니다. 그러나, 김정은과 북핵 대화 가능성을 언급한 트럼프 대통령 후보에게 북한은 한국을 배제한 미국과의 단독 대화를 위해 이른바 '구애공세(Charm Offensive)'를 펼쳤습니다.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의 보고서 발간 이후 유엔 총회와 안전보장이사회를 포함한 국제사회가 북한 인권의 심각성에 공감하고 있다고 로버트슨 부국장은 강조했습니다.

미국의 인권단체연합체인 북한자유연합(NKFC)의 수잔 숄티 대표는 이날 자유아시아방송에 차기 트럼프 행정부는 계속해서 북한의 인권과 자유를 증진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숄티 대표 : 트럼프 당선인은 외교 분야에 있던 사람이 아닙니다. 따라서, 누가 차기 행정부 국무장관이 될 것인가가 매우 중요합니다. 현재 거명되는 국무부 장관 후보가 모두 북한의 인권 문제에 관심이 많아 상당히 고무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북한의 인권’은 미국 의회가 초당적으로 지지하는 문제이고, 강력한 미국을 추구하는 차기 행정부와 미국 의회는 계속해서 북한 인권 증진에 예산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으로 믿는다고 숄티 대표는 강조했습니다.

한편, 미국 북한인권위원회의 그렉 스칼라튜 사무총장은 자유아시아방송에 차기 행정부가 계속해서 유엔에서 북한 인권 문제를 제기하고 중국과 러시아가 유엔의 대북 인권제재를 효과적으로 이행하도록 설득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한국과 긴밀한 협력 하에 북한의 가공할만한 인권 유린 실태를 개선하기 위한 외교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그는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