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북인권 조사위 “북, 비협조 일관”

0:00 / 0:00

앵커 : 북한 인권 유린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설립된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는 17일 북한 당국의 협조가 없더라도 북한 주민의 인권 개선을 위해 공정한 조사를 계속해 나갈 의지를 밝혔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북한 당국에 의한 주민의 인권 유린 실태를 조사하고 책임을 묻기 위해 구성된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COI)의 마이클 커비 위원장은 17일 북한 당국에 여러 차례 협조를 요청했지만 반응이 없었던 것이 지금까지의 조사활동 중 가장 힘든 도전과제였다고 말했습니다.

커비 위원장 : 저희는 북한 당국과 대화를 하며 조사활동을 하고 싶습니다. 하지만, 북한이 대화를 거부한다고 해도 유엔 인권이사회가 저희에게 부여한 임무를 수행하는 것을 막지는 못합니다.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고 있는 제24차 유엔 인권이사회가 이날 마련한 조사위원회 활동에 관한 첫 번째 구두 보고에서 커비 위원장은 북한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 등에 북한에서 조사활동을 할 수 있도록 수 차례 요청했지만 응답이 전혀 없었다며 이같이 강조했습니다.

커비 위원장은 그러면서 최근 한국과 일본에서 탈북자, 전문가 등으로부터 수집한 충격적이고 구체적인 증언과 자료가 체계적이고 심각한 인권 유린 실태를 일관성있게 증명한다고 밝혔습니다.

한국 등에서 열린 공개청문회에 참석하도록 북한 당국을 초청했지만,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이들 증언자를 ‘인간 쓰레기(human scum)’라고 부르며 정치적인 모략이라고 반박한 것은 터무니없다고 커비 위원장은 지적했습니다.

커비 위원장 : 저희 조사위원회는 진실하고, 성실하고, 정직하게 그리고 공정하게 임무를 수행할 것입니다.

조사위원회가 증언자들의 인권 유린 현장을 방문하도록 북한이 협조해 줄 것을 여전히 바라고 있다고 커비 위원장은 말했습니다. 북한의 주장대로 이들이 수집한 증언과 자료가 날조된 것이라면 그 증거를 제시해야 한다는 설명입니다. 그는 그러면서 전 세계인이 지금까지의 탈북자 증언 등 조사위원회의 활동에 관한 모든 내용이 상세하게 담겨 있는 웹사이트에 접속해 사실 여부를 스스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가 수집한 모든 증언과 자료가 이미 한 방향을 가리키고 있다며 내년 3월 유엔 인권이사회가 북한의 참혹한 인권 상황과 반 인도범죄 해당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최종보고서를 제출할 수 있도록 조사활동을 계속해 정직한 평가를 내릴 것이라고 커비 위원장은 밝혔습니다.

커비 위원장 : 인권유린 책임자에 대해 어떤 조치를 취할 지는 인권이사회가 결정할 것입니다. 북한 주민이 대를 이어가며 인권 유린의 고통을 당하지 않도록 저희 보고서가 이 유엔 건물 지하 어느 구석에 버려지지 않기를 바랍니다. 따라서, 인권이사회가 저희가 내놓을 최종 보고서 내용에 대해 긍정적인 답변을 해 줄 것을 희망합니다.

커비 위원장은 북한은 유엔 전 회원국을 대상으로 인권상황을 4년마다 한번씩 정기적으로 검토하는 보편적정례검토(UPR)의 권고 사항을 전혀 받아들이지 않고 있는 유일한 나라라며 조사위원회 설치의 당위성을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