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 제네바에서 3일째 열린 제31차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북한 인권과 관련한 남북한 간의 열띤 공방이 이틀째 이어졌습니다.
고위급 회기 기조 연설이 끝난 후 답변권을 신청한 북한의 서세평 제네바 유엔본부 주재 대사는 미국, 한국, 일본 대표의 북한 인권 관련 내용이 정치적 의도(provocative and politically motivated allegations)에서 나온 도발적 발언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북한의 인권유린을 지적한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의 보고서와 북한 해외 노동자의 강제노역 문제, 일본과 유럽연합이 공동 발의한 유엔 북한인권 결의 등이 인권과 상관없는 정치적 음모라고 전면 반박한 것입니다.
한국의 김영무 제네바 주재 한국 대표부 정무 차석대사는 북한 인권 문제는 한국의 단독적인 판단에 따른 주장(self-judged claim)이 아니라 국제사회 모두의 공통된 우려(common and collective concern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라며 정치적 음모설을 부인했습니다. 따라서 북한은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의 2014년 보고서에 지적된 ‘조직적이고 광범위하며 심각한’ 인권 유린을 개선할 것을 촉구한다는 것입니다. 김 차석대사는 그러면서 북한 당국은 이 같은 우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북한 주민의 인권을 개선하기 위해 국제사회와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지난 1일에도 남북한은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탈북자 증언과 관련한 진실 공방을 벌였습니다.
이날 고위급 회기 기조연설에 나선 북한 리수용 외무상은 북한을 공격하는 유일한 증거는 탈북자의 진술뿐이고 이들은 한국이 유인하거나 납치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김영무 대사는 답변권을 얻어 탈북자 증언의 신뢰도를 부인하는 발언은 거짓이라며 수용할 수 없다고 응수했습니다. 김 대사는 탈북자들의 존재 그 자체는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 보고서가 지적한 대규모의 인권침해가 벌어지고 있다는 증거라고 반박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