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 유엔 인권사무소 설치 공방

15일 스위스 제네바 유엔인권이사회에서 발언하고 있는 한국의 최석영 대사.
15일 스위스 제네바 유엔인권이사회에서 발언하고 있는 한국의 최석영 대사. (사진-유엔인권이사회 비디오 캡쳐)

0:00 / 0:00

앵커 : 스위스 제네바에서 15일 개막된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남북한은 유엔의 북한인권 조사를 위한 현장사무소 설치와 관련한 찬반논쟁을 벌였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스위스 제네바에서 15일 개막된 제29차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한국과 북한 대표는 이번 달 한국에 설치될 것으로 알려진 유엔 북한인권 현장사무소에 대한 찬반 의견으로 대립했습니다.

이날 첫 번째 회의에서 한국의 최석영 제네바대표부 대사는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가 추진하고 있는 현장사무소를 지지한다고 밝혔습니다.

최 대사 : 한국은 유엔 인권최고대표 사무소의 현장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는 확고한 입장을 갖고 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에 설치될 북한의 인권을 위한 현장사무소가 맡은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도록 지원할 것입니다.

최 대사는 유엔인권 최고대표사무소를 더욱 효율적이고 현장 중심의 조직으로 바꾸기 위해 현재 유엔인권 최고대표가 추진하고 있는 사업을 한국 정부가 모든 면에서 지지한다며 이 같이 강조했습니다.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에 이어 북한의 인권 유린 실태를 조사하고 기록할 현장사무소는 이달 한국의 수도 서울에 설치될 예정입니다.

그러나 이날 이어진 두 번째 회의에서 제네바 주재 북한대표부의 김영호 참사관은 북한인권 현장사무소 설치는 북한의 체제 전복을 위한 정치적 음모라고 주장했습니다.

김 참사관 : 한국과 일본 대표가 언급한 서울에 설치될 북한인권 현장사무소 설치 시도는 북한의 사회체제를 전복하려는 정치적 음모라고 여겨집니다.

김 참사관은 북한의 진정한 인권과 전혀 상관이 없는 인권의 정치화, 참을 수 없는 정치적 목적의 도발 등으로 간주한다며 비난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