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총회, 북 인권 결의 강력 지지해야”

0:00 / 0:00

앵커 : 미국의 인권단체들이18일 유엔총회 본회의에서 다뤄질 북한의 인권 유린 책임자 처벌 조항 등을 담은 유엔 인권 결의안에 유엔 회원국들의 강력한 지지를 촉구했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국제앰네스티 뉴욕지부의 니콜 비예르러(Nicole Bjerler) 공보담당은 더 많은 유엔 회원국들이 북한의 인권결의안 채택에 동의해 주길 희망한다고 17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비예르러 담당: 본회의에서도 지난달 제3위원회에서와 마찬가지로 표결이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제3위원회 표결에 참가하지 않았던 국가들이 찬성표를 던지기를 바랍니다.

비예르러 담당은 제3위원회 표결에 참가하지 않았던 8개국 중에서 기니비소(Guinea-Bissau)의 경우 마지막 표결이 있었던 2011년에 찬성을 했던 국가라며 결의안에 대한 지지를 희망했습니다. 비예르러 담당은 기권을 했던 55개국 중에서도 북한 인권 유린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찬성하는 나라가 나오길 바란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상 최초로 북한 인권유린 책임자를 국제형사재판소 등에 고발할 것을 권고한 유엔 북한인권 결의안은 지난달 찬성 111개국, 반대 19개국, 기권 55개국으로 인권을 다루는 제3위원회를 통과했습니다. 지난 2월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가 북한의 심각하고, 조직적이며 광범위한 인권유린이 반 인도적 범죄행위에 해당할 수 있다는 보고서를 발표한 후,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한 국제사회의 깊은 우려가 반영된 결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한편, 국제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는 17일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3주기를 맞아 발표한 성명에서 김 국방위원장이 세계에서 가장 폐쇄적이고 억압적인 지도자이며 그의 아들인 새 지도자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도 아버지의 발자취를 따르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북한 주민들에게 재앙과 같은 대기근과 반 인도적 범죄를 자행하는 정권이라는 것입니다.

미국 워싱턴의 인권단체 ‘북한인권위원회(HRNK)’의 그렉 스칼라튜 사무총장은 17일 자유아시아방송에2012년과 2013년 연속 합의로 채택된 북한인권 결의안이 올해는 다시 표결에 부쳐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제3위원회에서 반대를 하거나 기권을 한 나라들 대부분이 참담한 북한 인권 유린 실태를 몰라서가 아니라 스스로가 심각한 인권 문제에 봉착해 있기 때문에 본회의에서도 입장을 바꿀 가능성이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하지만, 이들이 계속 반대나 기권을 하더라도 북한인권 결의안이 본회의에서 무난히 채택돼 북한을 압박할 것이라고 그는 전망했습니다.

앞서 일본의 인권단체 아시아인권의 가토 켄 대표는 지난달 제3위원회에서 반대표를 던진 19개국 중 북한을 제외한 18개국의 일본주재 공관에 일본인 납치 피해자 가족 등과 공동으로 서한을 보내 본회의 북한인권 결의안 채택을 지지하도록 촉구했습니다.

한편, 미국 버지니아 한인회 등 한인단체들도 지난 15일 19개 결의안 반대국 중 시리아, 이란 등을 제외한 16개국 유엔주재 대사에 결의안 지지를 촉구하는 서신을 보냈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