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자 석방 결의안 이번 주 표결

미국 하원이 이르면 14일 북한에 억류된 미국인 여기자의 석방을 촉구하는 초당적 결의안을 채택합니다. 여기자의 석방을 위한 미국과 북한의 협상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됩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하원의 의사 일정을 총괄하는 민주당의 스테니 호이어 하원 원내총무는 북한이 억류한 여기자를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즉시 석방할 것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이번 주에 표결에 부친다는 의사일정을 발표했습니다.

미국 하원의 민주당 소속 애담 시프 의원은 지난달 17일 북한에 억류돼 12년 노동교화형을 선고받은 미국인 여기자 2명의 조기 석방을 촉구하는 결의안(H.Res 555)을 하원 외교위원회에 제출했습니다.

14개 항으로 구성된 결의안은 세 가지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첫째, 북한 당국이 관용을 베풀어서 두 여기자를 석방하고 둘째, 오바마 행정부가 진행 중인 여기자의 석방을 위한 외교적 노력을 지지하고 마지막으로 다른 나라들도 미국인 여기자들의 석방을 북한에 권고해 줄 것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여당과 야당 의원 39명이 공동 발의한 여기자의 석방을 촉구하는 결의안은 이르면 14일 반대 토론 없이 무난히 하원 전체 회의에서 채택될 전망이라고 법안을 제출한 시프 의원 측이 밝혔습니다.

한편, 지난주 북한을 방문한 박한식 미국 조지아대 교수는 미국 정부가 여기자들의 북한 내 불법 행위를 공식적으로 사과하고 재발방지를 약속하면 여기자를 석방할 수 있다는 반응을 북한 고위관계자가 언급했다고 전했습니다.

비슷한 시기인 10일,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은 여기자 2명이 북한 법에 따라 사면돼 그들의 가족 품으로 가능한 한 빨리 돌아오기를 원한다고 말했습니다. 클린턴 장관은 여기자들이 이번 사건을 크게 후회하는 만큼 북한이 선처해 달라고 덧붙였습니다.

미국의 외교수장이 북한에 억류된 여기자와 관련해 공식적으로 북한에 사면을 요청했지만, 북한이 원하는 수준에는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미국과 북한 간 핵협상에 국무부 통역관으로 배석했던 통 김 존스홉킨스 국제대학원 교수는 자유아시아방송(RFA)과 한 전화 통화에서 지적했습니다.

통 김: 북한은 클린턴 장관이 공개적으로 여기자의 사면을 호소한 발언보다는 더 높은 수준의 미국 정부의 반응을 기대한다고 생각합니다.

김 교수는 미국 정부가 민간인의 위법 행위를 공식적인 외교 문서로 사과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면서 클린턴 국무장관의 유감 표명을 담은 서한을 대북 특사를 통해 북한 당국에 전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