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올 회계연도 들어 처음으로 지난달 다섯 명의 탈북자가 미국에 난민 지위를 받고 입국했습니다. 이로써 2004년 제정된 북한인권법에 따라 미국에 정착한 탈북 난민의 수는 총 176명으로 늘었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미국 국무부가 2일 갱신한 인구난민이주국(Bureau of Population, Refugees and Migration)의 난민입국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다섯 명의 탈북 난민이 미국에 입국했습니다. 지난 7월 네 명의 탈북자 가족이 난민 지위를 받고 미국에 입국한 후 4개월 만에 처음입니다. 이로써 2004년 제정된 미국의 북한인권법에 근거해 미국에 정착한 탈북자 수는 총 176명이 됐습니다.
매년 10월 시작되는 미국의 회계연도별로 보면 2014 회계연도에8명의 탈북자가 난민지위를 받고 미국에 도착했고, 2013년에는 17명, 2012년에는 22명, 2011년에는 23명, 2010년에는 8명, 2009년에는 25명 등으로 대부분 연 평균 20여 명 안팎입니다.
미국 정부는 2006년 최초로 9명의 탈북 난민을 받아들인 후 2007년에는 22명에게 난민 지위를 부여한 후 2008년에는 역대 최다인 37명의 탈북 난민을 수용했습니다.
미국 북한인권위원회(HRNK)의 그렉 스칼라튜 사무총장은 그러나 미국이 북한인권법 제정 10주년인 올해까지 불과 200명도 안 되는 탈북자를 수용한 것은 결코 충분하지 않다고 2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스칼라튜 사무총장은 그러면서 인터넷 통제 등으로 세계에서 가장 폐쇄된 국가라는 특성을 고려해 탈북자들이 미국에 정착해 살 수 있도록 직업교육 등 기본적인 자립 교육이 절실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스칼라튜 사무총장 : 전기세 등 공과금을 내는 것부터 은행계좌를 열고 신용카드를 발급받는 것, 운전면허를 취득하는 것 등 자본주의 사회에서 태어나고 자란 사람들에게는 기본적이고 단순한 일들도 탈북자들에게는 매우 낯설고 힘든 것입니다.
스칼라튜 사무총장은 미국에 정착한 탈북자 사회의 규모가 커지면 미국 정부도 한국 내 탈북자 정착 지원 교육기관인 ‘하나원’과 같은 시설을 설립하는 등 탈북자 재정착 지원정책을 제도화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미국 내 탈북자들의 정착을 돕고 있는 ‘재미 탈북민 연대(NKinUSA)’의 조진혜 대표는 탈북자들에게는 무엇보다도 병원에 갈 수 있게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조 대표 : 북한에서 떠나면서 병원이나 치과 같은 데를 한 번도 가 본 적이 없이 정말 아프지 않으면 약도 사먹지 않고 그런 상황에서 살았기 때문에 미국에 들어오면 병원을 다니면서 심리적∙육체적 치료를 받아야 하는데…
조 대표는 그러면서 건강보험카드나 식량 구입권 등 미국 정부가 제공하는 지원을 효율적으로 누릴 수 있도록 탈북자들과 언어 소통이 용이한, 전문성을 가진 단체와 신속하게 연결시켜 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따라서 ‘재미 탈북민 연대’도 지난 여름 미국에 입국한 탈북자 가족이 자동차를 구입할 수 있도록 계약금을 지원하는 등 탈북자들의 미국 정착을 돕는 데 앞장설 계획이라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