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당국이 해외에 친척을 둔 주민들의 친척방문 해외여행 허가 연령을 상향 조정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에서 김준호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해외에 친척을 둔 북한 주민들의 친척방문 해외여행이 종전보다 더욱 까다롭게 되었다는 소식입니다.
친척방문 해외여행을 허가하는 기준연령이 종전에는 여성의 경우 55세 이상, 남성의 경우 60세 이상이면 가능했었는데 북한당국이 5년을 상향 조정해서 여성의 경우 60세, 남성의 경우 65세 이상에 한해 여권발급을 허가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생애 처음으로 친척방문차 중국여행길에 나섰다는 평안북도 주민 김 모 씨는 최근 이 같은 사실을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전하면서 “중국에 나와보니 자유롭게 중국을 드나드는 남조선 사람들을 보면서 신기한 생각마저 들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친척방문 허가연령을 상향 조정한 시점을 정확히는 모르지만, 김정은 체제가 들어선 이후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또 “해외 친척방문을 허가하는 요건은 연령문제 말고도 심사기준이 너무도 까다롭다”면서 “먼 친척들 중에 탈북자가 있거나 중국 이외에 남한이나 일본 등지에 친인척이 있는 사람은 심사대상에서 아예 제외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밖에도 그는 “더 해괴한 것은 방문대상인 중국의 친척이 경제적으로 잘 사는지 못 사는지가 해외여행 허가의 중요한 잣대가 된다”면서 “해외 친척방문을 허가하는 가장 큰 목적이 친척으로부터 경제적 도움을 받아오라는 것이기 때문”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친척방문을 해봐야 경제적 도움을 기대할 수 없는 경우는 아예 허가를 해주지 않는다는 얘깁니다.
얼마 전 북한에 사는 동생을 초청해 다녀갔다는 단둥의 조선족 이 모씨는 “북한의 동생이 굳이 말은 하지 않았지만 돈 얻으러 온 것을 뻔히 알기에 빚을 내서 2만 위안을 줬다”면서 “그래 봐야 간부들의 이런저런 숙제(선물 요구)를 하고 나면 남는 게 얼마나 될지 알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이씨는 “동생이 하늘의 별 따기만큼이나 어렵다는 해외 친척 방문을 했지만, 경제적으로 크게 도움도 되지 않은 것 같아 마음이 무겁다”고 한숨지었습니다.
이씨는 또 “사정이 이렇다 보니 중국에 친척이 있는 북한주민들도 경제적 도움을 줄 만한 가까운 인척이 아니라면 친척방문 생각을 포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지금까지 북한 당국은 주민들의 해외 친척방문을 중국지역에 한해 제한적으로 허용해 왔지만, 러시아를 비롯한 일본 등 다른 국가의 친척 방문은 일체 허용하지 않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