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한국의 북한 인권 특사는 물론 유엔을 포함한 국제기구의 북한 인권 관계자들이 대거 참여할 예정인 이번 행사는 북한 인권 문제의 심각성을 전세계에 알리고 해결을 촉구하는 계기가 될 전망입니다.
정아름 기자가 보도합니다.
1999년 당시 북한인권문제만을 다룬 세계 최초의 국제회의로 출발해 지금도 북한 관련 최대 규모로 꼽히는 '북한인권•난민문제 국제회의'가 내년 여름 열릴 예정이라고 이 행사를 공동 주최하는 캐나다의 북한 인권 단체인 한보이스(HanVoice)의 잭 김 대표는 30일 자유아시아방송 (RFA)에 밝혔습니다.
북한의 인권 문제만 다뤄온지 벌써 10년 째.
해를 거듭할수록 참가국 수와 유엔 관계자, 각국 정부대표들의 참여가 늘어나 영향력을 키워간 이 행사는 1년이 더 남은 시점인 데도 국제 사회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공동 주최 측인 미국의 국립민주주의기금(NED), 한국의 북한인권 시민연합은 남짓 남은 벌써부터 초청자 명단을 만들고, 다뤄질 의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는 등 활발한 준비 작업에 들어갔다고 잭 킴 대표는 밝혔습니다.
아직 행사 참가 여부가 결정되지는 않았지만 예년의 경우를 볼 때 한국의 제성호 인권대사와 미국 공화당의 프랭크 울프(Frank R. Wolf) 하원의원도 행사에 참여할 예정입니다.
올해는 호주의 맬버른, 2008년은 영국의 런던에서 개회됐던 이 행사는 2005년 유엔 차원의 북한인권결의안의 채택을 이끌었으며, 유엔 내 북한 관련 특별보고관제도 마련 등의 제안 사항들도 실제로 유엔에서 받아들여지는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한편, 개최지로 선정된 캐나다에서는 최근 북한 인권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 터라 주목됩니다.
캐나다에서는 탈북자가 난민 지위를 받는 사례가 지난해 하반기를 시작으로 급증하고 있으며, 지난 5월 북한 인권과 관련한 결의안이 여당과 야당에서 각각 발의됐고, 현재 토론토에서는 이 결의안의 통과를 지지하는 서명 운동이 본격적으로 전개되고 있습니다.
특히, 이 행사의 주최 측은 북한 정부대표나 외교관, 학자들도 참석해 북한 당국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해명하고 불가피한 어려움을 설명해 개선에 필요한 국제사회의 지원을 요청할 수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