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 정부가 김정남 피살사건을 북한 정권 차원의 정치 테러로 규정하고 강력히 규탄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대응책 마련을 위해 국제사회와도 긴밀히 공조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정부가 김정남 피살사건의 배후로 북한 정권을 사실상 지목하면서 전방위 대북 압박에 나설 태세를 갖췄습니다.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은 20일 오전 서울 정부중앙청사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주재하고 김정남 피살 사태와 관련된 말레이시아 경찰 발표 내용을 포함한 관련 상황을 점검하고 대응 방향을 협의했습니다.
황 권한대행은 이 자리에서 "이번 사건의 배후에 북한 정권이 있는 것이 확실해 보인다"면서 "북한이 이러한 테러 행위들에 대해 응분의 대가를 치를 수 있도록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모색하라"고 지시했습니다.
남북관계 주무부처인 통일부는 이날 오전 요인 암살을 '테러'로 규정한 유엔 안보리 결의 1374호를 제시하기도 했습니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 기본적으로는 정치적 반대자들을 경찰이나 비밀요원, 또는 군대를 동원해서 납치한다든지 암살한다든지 하는 이런 행위들, 그리고 재판 없이 수감을 한다든지 또는 집단 학살한다든지 이런 것들이 다 테러행위에 들어간다고 유엔에서는 보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는 특히 북한 정권의 잔학하고 반인륜적인 실체를 국제사회에 알리는 데 초점을 맞추기로 했습니다.
뮌헨안보회의 참석차 독일을 방문한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현지시각으로 19일 기자간담회에서 내달 초 유엔인권이사회 등을 계기로 "북한 인권 침해와 관련한 북한 정권의 책임성 문제 측면에서 새로운 조명이 이뤄질 것"이라며 "국제사회가 더 관심을 갖고 북한 문제를 보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남한의 군 당국은 대북확성기 방송을 통해 김정남 피살사건을 북한 내부에 알리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합동참모본부의 한 관계자는 “북한군과 주민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면서 “김정남 피살 원인이 공식 확인되면 적극적으로 북한 내부에 알리겠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