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최근 북한 당국이 전 주민을 대상으로 인적 사항을 컴퓨터에 전산화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전산화 작업은 지난 2003년 처음 시작됐지만, 중간에 예산상의 이유로 중단됐다가 이번에 재개된 것입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 주민들의 인적사항 전산화는 북한 당국이 강성대국 원년으로 삼은 2012년까지 완료한다는 계획입니다.
전국적인 전산망 구축을 위해 최근에 대규모 예산을 배정받아 작업을 하고 있으며, 장성택 중앙당 행정부장이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같은 내용은 한국 내 탈북자 지식인 모임인 NK지식인연대가 15일 북한 내부 소식통을 인용해 밝혔습니다.
NK지식인연대 김흥광 대표입니다.
김흥광:
지금 보안원들이 집집마다 직접 다니면서 호구조사와 함께 증명사진을 찍고 지문채취를 진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북한은 2003년경에 주민등록 전산화와 함께 새 공민증 발급을 추진했지만, 재정난으로 끝내지 못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러나 평양시의 경우 2008년 이미 끝낸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현재 북한 주민들은 전산화가 된 새 공민증을 갖고 있는 사람과 낡은 공민증을 갖고 있는 사람으로 나눠져 있습니다.
결국 최근 진행되고 있는 전산화 작업은 평양을 제외한 지방에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김흥광 대표는 “인민보안부가 이번 전산화 작업을 위해 호구조사를 하는 과정에서 2000년 이후 실종된 사람들의 명단을 집중적으로 밝혀내고 있으며, 가족 중에 없는 사람이 있으면 행방을 추궁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김흥광 대표입니다.
김흥광:
지금까지 호구조사를 진행한 결과 함흥시에서만 2000년 이후 행방불명된 사람이 3천명을 넘어 보안부에서 가족을 불러 조사하고 사망여부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조사과정에서 주민의 30% 이상이 없어진 함북 온성군 하면노동자구에서는 행방불명자 전부를 중국으로 탈북한 것으로 판단해 담당자들에게 책임을 묻고 모두 교체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북한의 이번 주민등록 전산화 사업에 대해 NK지식인연대는 행방불명된 사람의 신원을 밝혀내는데도 목적이 있지만, 그 보다는 주민통제를 더 원활하게 하려는 데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지금까지는 보안원이 범법자로 의심되는 사람을 잡아 신원을 확인하려면 전화로 일일이 확인하고 범법자 거주 지역의 보안원이 직접 와서 확인하는 등 복잡한 절차가 필요했습니다.
그러나 이번에 전산화가 완성되면 이러한 복잡한 신원확인 절차가 간소화 될 전망입니다.
당연히 보안원들은 업무가 편해지기 때문에 이번 사업을 상당히 반기는 분위기입니다.
그러나 북한 지역의 열악한 전기가 문제입니다.
전기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서는 컴퓨터 전산망이 완성돼도 아무런 의미가 없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