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 당국이 공민증(주민등록증)이 없는 주민들의 압록강이나 두만강 접근을 철저히 통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빨래를 하거나 강물을 길어다 식수로 사용하는 하는 주민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고 소식통들이 강조했습니다.
자세한 소식, 문성휘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북한 당국이 북-중 국경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면서 공민증을 착용하지 않은 주민들은 압록강이나 두만강에 일체 접근하지 못하도록 조치했다고 여러 현지 소식통들이 전해왔습니다.
최근 연락이 닿은 함경북도 소식통은 “빨래를 하기 위해 두만강에 나갔던 사람들이 ‘공민증’을 착용하지 않아 모두 쫓겨나는 일이 있었다”며 “국경경비대원들이 얼굴을 아는 사람들도 ‘공민증’이 없으면 두만강에 접근하지 못 하게 막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 북한 양강도의 소재지 혜산시에 사는 한 소식통도 “압록강은 혜산시 주민들의 빨래와 먹는 물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강”이라며 “그런데 최근에는 인근 주민들이 압록강에 나가는 것도 여간 베찬(어려운) 일이 아니다”고 언급했습니다.
양강도 혜산시에서는 올해 김정일 국방위원장 생일인 2월16일을 며칠 앞두고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20대 여성 3명이 물을 긷는 것을 가장해 압록강 얼음구멍가까이 접근하다가 그대로 중국으로 뛰었다는 것입니다.
숱한 주민들과 국경경비대가 지켜보는 가운에 압록강을 건넌 이들 여성들은 맞은편에 대기하고 있던 중국인의 차에 올라 그대로 사라졌다는 것이 양강도 소식통들의 얘기입니다.
이 사건은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후 ‘애도기간’ 중에 일어난 것으로 하여 주민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당시 북한 당국은 사건의 책임을 물어 해당지역인 혜장동 주변 국경경비대 간부들을 모두 해임했었다고 소식통들은 강조했습니다.
소식통들은 이러한 사건들 때문이라고 단정 하기는 어렵지만 며칠 전부터 갑작스레 압록강과 두만강에 나가는 주민들이 무조건 ‘공민증’을 소지하도록 했다며 강이 아직 얼려면 멀었는데 이처럼 단속을 해 주민들의 원성도 높다고 말했습니다.
국경경비대원들이 압록강에 나가는 주민들의 ‘공민증’을 모두 회수했다가 빨래나 물 긷는 일을 끝내고 들어 올 때 다시 공민증을 내어준다며 그러다나니 무거운 물동이를 머리에 인 여성들은 자연히 짜증이 날 수밖에 없다고 소식통들은 덧붙였습니다.
그런가하면 “경비대 군인들이 사소한 일을 시비하면서 ‘공민증’을 빼앗고 압록강에 못나가게 해 여간 불편한 게 아니다”며 “오죽하면 마실 물을 좀 긷자 해도 경비대원들에게 뇌물을 고여야 한다는 말이 나오겠는가?”고 안타까움을 표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