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가 흘러야 북한이 변화한다”

0:00 / 0:00

앵커: 미국 국무부의 로버트 킹 대북인권특사는 서울에서 14일 열린 북한인권 관련 국제학술회의 기조연설에서 '정보가 흘러야 북한이 변화한다'면서 정보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의 통일연구원이 주최한 학술회의에 참가한 로버트 킹 특사는 자신이 대학원을 졸업한 후 처음 일했던 직장이 RFE, 즉 ‘자유유럽방송’이었다고 말합니다.

킹 특사는 과거 중부 유럽이 소련의 영향 아래에 있던 시절 RFE에서 일하면서 “외부 세계로부터 자국을 차단하려 했던 나라의 인권을 신장시키는데 국제방송이 얼마나 중요한지 직접 목격했다”고 설명합니다.

그러면서 킹 특사는 “북한의 언론 환경에는 현재 작지만 의미있는 변화가 진행 중이며, 미국은 북한에 정보 유입을 증가시키기 위한 의지를 갖고 있다”고 강조합니다.

로버트 킹: 궁극적으로 좀 더 열려있는 정보 환경은 북한 시민의 의식을 좀 더 깨어있게 만듭니다. 북한에 정보가 흘러들도록 하는 게 중요한 거지요.

킹 특사는 “미국은 북한 주민의 고립을 약화시키는 노력의 일환으로 북한에 뉴스와 정보를 전달하는 방송을 하는 데 관여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킹 특사는 “중국 동북지역의 탈북자 감금 관련 보고를 매우 깊이 우려하고 있다”면서 “북한을 떠나 다른 곳에서 은신처를 찾고자 하는 이들을 돕는 데도 미국은 의지를 갖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킹 특사는 “중국이 난민협약 등의 가입국으로서 의무를 준수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지난 9일 서울을 찾은 킹 특사는 통일부와 외교통상부, 그리고 북한 인권운동 관계자들을 만나 북한의 인권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 등을 협의했으며 15일 출국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