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인도 국영회사가 최근 러시아의 광산을 인수하려다 포기한 배경에 국제사회의 강력한 제재를 받고 있는 북한이 연관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인도의 국영회사인 광물개발공사(National Mineral Development Corporation)가 러시아의 광물 개발 사업권을 인수하려다 중단한 것은 북한과 관련이 있다고 인도의 인터넷 매체인 인디아 익스프레스가 18일 보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인도광물개발공사는 지난해부터 약 1억 톤의 광물이 매장된 것으로 추정되는 러시아의 시베리아 북동부 사하(Sakha) 지역의 광산 개발을 추진했고 지난달 10일 소유주인 러시아 기업과 사업권 인수를 위한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3년 동안 미화 1억 6천500만 달러를 투자해 매년 250만 톤의 광물을 생산한다는 내용이었습니다.
하지만 양측이 인수 협약에 서명한 날 열린 인도광물개발공사의 이사회는 사업을 중단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북한 기업이 광산 개발권 지분의 20%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뒤늦게 확인했기 때문입니다.
인도광물개발공사는 미국의 강력한 경제 제재를 받고 있는 북한과 거래하는 위험이 크다고 판단했고 결국 인수를 포기했다고 인디아 익스프레스는 전했습니다.
미국 의회조사국의 다이앤 리낵 연구원은 인도 국영회사가 북한 기업과 거래를 거부한 것이 미국의 대북제재 행정명령 때문일 것이라고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전했습니다.
리낵 연구원은 지난해 발표된 미국의 대북제재 행정명령은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북한에서 생산된 제품의 대미 수출을 막고 있다면서 인도광물개발공사가 북한이 연계된 광산을 개발했다가 자칫 미국과 거래를 못 할 수도 있다는 우려로 이 같은 판단을 내렸을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이와 함께, 대북제재 업무를 담당했던 전직 미국 재무부 관리도 북한 기업이 관련된 사업에 참여하는 것 자체는 미국이나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대상이 아니지만, 미국 정부의 감시망 아래 놓일 가능성은 크다고 분석했습니다.
북한의 기업이나 개인이 관여된 사업은 북한 정권의 돈세탁을 비롯한 불법 금융행위의 도구로 활용될 위험이 크기 때문에 미국 재무부 산하의 해외자산통제실의 표적이 될 수 있음을 인도의 국영기업이 감지했을 것이라고 이 전직 관리는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