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북한당국이 외부정보 유입을 막기 위해 불법휴대전화 사용자들에게 ‘자수’를 권고하고 있지만 아무런 성과도 얻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그런가하면 국경경비대에는 탈북주민들을 밀고한 병사들에게 더 많은 혜택을 줄데 대한 지시가 내려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문성휘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북한당국이 ‘자수’하는 불법휴대전화 소지자들에 대해서는 죄를 묻지 않겠다고 거듭 회유하고 있지만 자수하는 주민들은 거의 없다고 여러 내부소식통들이 전해왔습니다.
최근 연락이 닿은 함경북도 소식통은 회령시 사법당국이 1월 30일까지 ‘자수’한 불법휴대전화 사용자들은 모두 용서한다고 했지만 ‘자수’하는 사람들이 없어 다시 그 기간을 2월 10일까지 연장했다고 밝혔습니다.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당국은 지난 1월 10일부터 방학을 맞은 각 지방대학 교수들로 ‘순회 강연대’를 조직하고 이들을 통해 김정은 위대성선전을 펼치는 한편 국경연선지역들을 돌며 불법휴대전화 소유의 엄중성에 대해 강연하도록 했다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당과 국가의 조치로 1월 30일까지 ‘자수’하는 불법휴대전화 소유자들에 대해서는 용서하지만 그 이후 적발되는 자들에 대해서는 ‘전시법’을 적용한다며 제때에 ‘자수’해 평생 반역자로 남는 일이 없도록 하라고 경고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1월 30일까지 회령시에서 불법휴대전화를 바치고 ‘자수’한 주민은 단 한명도 없었고 이에 당황한 사법당국은 다시 인민반장들을 통해 2월 10일까지 ‘자수’할 것을 지시하며 주민들을 압박하고 있다고 소식통은 말했습니다.
그는 지난해 3월에도 ‘자수’한 사람들을 용서한다고 해 놓고 정작 ‘자수’하면 휴대전화 사용처에 대해 조사를 해 적지 않은 사람들이 처벌받았다며 “자수할 바엔 차라리 부엌에 넣어 태워버리는 게 낫다”는 주변의 분위기를 언급했습니다.
한편 양강도 소식통은 당국의 새로운 조치에 따라 탈북을 시도하는 주민들을 신고한 국경경비대원들을 다른 해안경비대나 경비부대에 재배치하고 있다며 그들에 대한 표창도 크게 늘었다고 말했습니다.
이들의 경우 지금까지 북한 당국으로부터 노동당 입당을 비롯해 승진의 기회가 특별히 주어졌지만 대신 부대 안에서 ‘보위부 밀정’이라는 딱지가 붙어 집단 따돌림과 질투를 면치 못 했다는 것입니다.
이런 폐단을 극복하고 더 많은 탈북자들의 체포를 유도하기 위해 올해부터 탈북자를 신고하거나 적발하는 국경경비대원들에게 이러한 특혜조치가 취해졌다고 소식통은 주장했습니다.
새로운 조치에 따라 이들에게는 노동당 입당은 물론, 제대될 때 본인이 희망하는 대학에 갈 수 있고 평양시 거주권을 주어 대동강과수농장에 배치 받을 수도 있도록 혜택이 늘었다고 소식통은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