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북한공개정보센터 다음 달 가동

0:00 / 0:00

MC:

한국의 통일부가 북한과 관련해 이미 공개된 정보를 수집하는 ‘북한공개정보센터’를 다음 달 중 가동할 예정이라고 26일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통일부는 ‘북한공개정보센터(NKOSC)’를 2월 중으로 가동하기 위해 현재 전문 인력을 모집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올해 운영 예산은 2억 원, 그러니까 미화로 17만8천 달러가 배정됐습니다.

북한공개정보센터는 말 그대로 북한과 관련해 이미 공개된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고 통일부 관계자는 설명합니다.

기밀 정보를 수집하는 게 아니라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해외 언론보도 내용이나 미 의회 증언 내용처럼 이미 공개된 내용을 분석에 활용할 목적으로 체계적으로 취합하는 게 북한공개정보센터의 역할”이라고 이 관계자는 말합니다.

또한 취합한 정보는 “내부 직원들에게만 공개된다”고 이 관계자는 덧붙였습니다.

북한 문제 전문가들은 북한공개정보센터를 만들려는 통일부의 시도를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하지만 추후엔 구조 개편이 필요할 거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노무현 정부 당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정보비서관실에서 근무했던 장용석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입니다.

장용석:

일단 통일부에서 공개정보센터를 만들고, 그렇게 수집한 공개 정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겠다는 것 자체는 굉장히 의미있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문제는 이게 통일부 차원에서만 국한되어선 안 된다는 겁니다. 전체 정보공동체 내에서 이런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하고 활용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드는 게 중요하지 않겠나 생각합니다.

미국의 경우에도 공개 정보를 취합하고 분석하는 ‘공개정보센터(OSC)’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 센터는 정보 기관을 총괄하는 미국국가정보국(DNI) 소속입니다.

미국의 공개정보센터는 단일 국가에 대한 정보뿐 아니라 미국의 국익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포괄적으로 수집해 분석하고 있으며, 이를 정보 관련 기관과 부처가 공유하고 상호 평가한다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도 현재는 북한공개정보센터를 통일부 내에서 시범적으로 운영한다고 하더라도, 추후에는 정보 관련 기관과 부처를 아우르는 정보 공동체를 형성해 공개 정보를 취합하고 분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