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한국 국회는 22일 본회의를 열고 정부를 상대로 긴급 현안을 질의했습니다. 의원들은 김정일 사망과 관련해 정부의 대북 정보력 부재를 한목소리로 질타했습니다. 하지만 정부는 한국의 정보력이 “그렇게 취약하지 않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여야 의원들은 한국 정부의 대북 정보력 부재를 비판하면서 관련자 문책을 포함해 대책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김정일 위원장의 사망 시점인 17일 오전 8시 반부터 무려 52시간 동안 한국 정부가 이 사실을 전혀 감지하지 못하고 있었던 점을 문제삼은 겁니다.
특히 여당 의원들도 원세훈 국가정보원장의 경질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한나라당 김동성 의원입니다.
김동성:
이번 사태에 대한 책임을 지고 국정원장을 교체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구렁이 담 넘어가듯이 어물쩍 넘어가선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한나라당 정옥임 의원도 “한국이 미국이나 중국보다 앞선 분야였던 인적정보(휴민트) 수집 능력이 지금은 붕괴된 상태”라면서 “국정원의 조직 개편으로 대북 전략국이 폐지되고 북한 전문 요원의 수가 크게 줄었다는 비판이 있는 만큼 국정원장을 경질할 필요성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하지만 김황식 국무총리는 북한의 폐쇄적 특성 때문에 김정일의 사망과 관련해 정보 공백이 발생한 점은 인정하면서도, 이 때문에 한국의 정보 당국을 문책할 만큼 정보력이 부족하지는 않다고 말했습니다.
김황식:
설사 그것을 사전에 파악하지 못했다고 해도 그것 하나를 가지고 ‘정보 능력이 부족하다’고 평가하는 것은 아마 정보원으로나 국방부로서도 조금 경우에 따라서는 아쉽게 생각할 수 있을 겁니다.
청와대도 “한국의 정보력이 그렇게 취약하지는 않다”고 반박합니다.
이명박 대통령은 “김정일 위원장 사망을 북한 발표를 보고 알았고 그전에 몰랐던 게 사실이지만, 우리뿐 아니라 세계 어느 나라도 우리와 마찬가지로 몰랐다”고 말했습니다.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정당 대표들과 회담한 자리에서 이명박 대통령은 “우리가 갖고 있는 정보사항이 있다”면서 “하지만 억울하더라도 이를 얘기하지 않는 게 좋겠다”고 밝혔다고 최금락 청와대 홍보수석이 전했습니다.
정부 관계자는 “정부가 정보 사항에 대해 확인해 준다든지 일일이 대응할 경우 우리의 정보 체계가 드러나기 때문에 공식 석상에서 언급할 수 없다”고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