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남한방송 전파방해 대폭 강화

0:00 / 0:00

북한당국이 주민들의 남한 텔레비전과 라디오방송 시청을 차단하기 위해 방해 전파를 대폭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미 오래전부터 북-중 접경지역을 대상으로 중국 휴대폰 통화를 차단하는 방해전파를 발사하고 있는데 이어 남한 방송의 수신을 차단하는 조치를 취한 것입니다.

중국에서 김준호 특파원이 전합니다.

북한당국이 북한주민들이 외부세계의 소식을 접하는 요긴한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는 남한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방송의 수신을 막기 위해 방해전파를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최근 친지 방문차 중국에 나온 강원도 원산주민 윤 모 씨는 “요즘 들어 남조선 텔레비전을 시청하기가 아주 어려워졌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전했습니다.

윤 씨는 “얼마 전부터 남조선 텔레비전을 몰래 시청하다보면 화면에 줄무늬가 수없이 나타나고 소리도 듣기에 거북한 소음이 섞여 나오는 현상이 자주 일어난다”면서 “처음엔 이런 현상이 날씨가 나빠서 생기는 줄 알았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날씨와 상관없이 이런 현상이 계속되고 있어 당국의 방해전파 때문임을 알아챘다”고 주장했습니다.

윤 씨는 그러나 “어떤 날은 잠깐씩 텔레비전 화면이 예전처럼 잘 나오는 날도 있는 것을 보면 방해전파를 매일 쏘는 것은 아닌 것 같다”면서 “방해전파를 쏘다 말다 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 잘 모르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지난달 중국을 방문한 평안남도 남포주민 이 모 씨도 “조선중앙텔레비전보다 KBS위성 방송이 더 잘 나오는 편이었는데 최근 들어서는 화면과 음질 상태가 아주 나빠져 시청이 어려운 날이 많아졌다”고 앞서의 증언을 확인해주었습니다.

한편 북한당국은 접경지역에서 텔레비전 뿐 아니라 남한의 라디오 방송에도 방해전파를 발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북한과 인접한 중국 국경지역에서 자유아시아방송(RFA)을 청취하고 있다는 중국의 한 대북 소식통은 “북한이 발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방해전파 때문에 라디오 청취가 불가능한 날이 최근 들어 부쩍 많아졌다”고 말했습니다.

이 소식통은 또 “그러나 어떤 때는 라디오 수신 상태가 매우 양호한 날도 있어 북한의 방해전파 발사가 매일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닌 것 같다”면서 “심각한 전기부족을 겪고 있는 북한이 지속적인 방해전파를 발사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풀이했습니다.

한편 북한 내에서 남한의 텔레비전 시청이 가능한 지역은 해안지방을 중심으로 매우 광범위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본 자유아시아 방송(RFA)이 중국에 나온 북한 주민들을 대상으로 파악한 바에 따르면 남한과 가까운 개성 지역은 물론 해주나 남포 등지의 서해안 지역은 북한의 조선 중앙 텔레비전 못지않게 남한의 KBS를 비롯한 MBC, SBS 공중파 3사의 방송을 모두 선명한 화면으로 시청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이밖에 동해안 지역의 원산, 함흥 심지어는 청진 지역에 까지도 장애물이 없는 지역엔 실내 안테나 조정만으로도 남한 텔레비전 시청이 가능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소식통들의 증언을 종합해 볼 때 북한당국이 보안원들의 단속만으로 주민들의 남한 텔레비전 시청이나 라디오 청취를 막는 것은 한계가 있다는 판단 아래, 이를 근본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방해 전파를 발사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