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총리, 한일 정상 회담서 핵무장 언급

일본의 아소 다로 총리가 지단 6월 28일 도쿄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 때 일본 국내에서 대두하고 있는 핵무장 논의에 언급했다고 전해졌습니다.

0:00 / 0:00

도쿄에서 채명석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일본의 아소 다로 총리는 한국의 이명박 대통령과 외무장관 등 소수의 인사가 참석한 자리에서 "북한의 핵 문제가 심각해지면 일본 국내에서 핵 무장해야 한다는 소리가 강해진다"고 말했다고 아사히신문이 31일 보도했습니다.

이 신문은 아소 총리가 정상회담에서 일본의 핵무장에 대해 언급한 것은 "북한 핵 문제의 열쇠를 쥐고 있는 중국의 대응을 재촉하기 위한 설득 재료"라고 전했습니다.

이 신문은 또 "양국 정상은 중국이 유엔안보리 제재 결의의 이행에 진지하게 임하지 않을 경우 한일 양국이 북한에 대한 방위력을 강화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는 신호를 중국 측에 전달할 필요가 있다"는 데 의견을 함께 했다고 전했습니다.

북한이 핵실험을 단행한 이후 일본 국내에서는 핵을 만들지도 않고, 보유하지 않고, 반입하지도 않는다는 이른바 '비핵 3원칙'을 버리고 일본도 직접 핵 무장해야 한다는 소리가 높아가고 있습니다.

헨리 키신저 전 미국 국무장관도 북한이 2차 핵실험을 단행한 지난 5월 한일 양국이 핵무장을 할 가능성을 지적하면서, 중국에 대해 북한 문제에 진지하게 대응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아소 총리는 북한이 핵실험을 단행한 이후 형성되고 있는 일본 국내외의 분위기를 한국 측에 전달하려고 일본의 핵 무장 논의에 대해 언급했지만, 한국 측은 특별한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고 아사히신문이 전했습니다.

한편 아소 총리는 외상 때인 2006년10월, 중의원 외무 위원회에서 "이웃 나라가 핵무기를 갖게 되면 일본도 여러 논의를 하는 것이 당연하다"며 일본의 핵무장 문제에 대해 언급해 야당이 그의 파면을 요구하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