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도쿄 지방법원은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 중앙본부의 건물과 토지에 대한 입찰 신청을 오는 3월 12일부터 19일 사이에 접수한다고 25일 공시했습니다. 이에 따라 조총련은 경매 절차가 끝난 즉시 30여년 간 입주해 온 중앙본부 건물에서 쫓겨날 처지에 놓였습니다.
도쿄에서 채명석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도쿄 지방법원은 도쿄 지요다 구 후지미 쪼에 있는 조총련 중앙본부의 토지725평(약 2천390 제곱 미터)과 지상 10층, 지하 2층 짜리 건물에 대한 입찰 신청을 오는 3월12일부터 19일 사이에 접수한다고 25일 공시했습니다.
입찰 가격의 하한가는 26억 6천만 엔 즉 2천800만 달러로 책정되었으며, 가장 높은 가격을 제시한 입찰자를 최종 낙점하는 매각 결정일은 3월29일로 결정됐습니다.
일본의 정리회수기구는 2007년 조총련이 멋대로 사용한 조은 신용조합의 융자금 627억 엔 즉 6억 7천만 달러를 반환하라는 소송을 제기하여 승소 한 바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정리회수기구는 작년 7월 조총련 중앙본부의 건물과 토지에 대한 경매 절차를 도쿄 지방법원에 신청했는데, 25일 이에 대한 입찰 날짜가 최종 공시된 것입니다.
입찰 날짜가 결정됨에 따라 조총련은 경매 낙찰자로부터 건물을 임차하지 못할 경우 경매 절차가 끝난 직후 결성 30주년을 맞아 1986년에 새로 지은 10층짜리 현대식 건물에서 쫓겨날 처지에 놓이게 됐습니다.
조총련은 이런 사태에 대비해 중앙본부의 기능과 인원을 도쿄 분쿄구에 있는 조선출판회관으로 옮기는 작업을 진행해 온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지상 13층, 지하 1층짜리 조선출판회관에는 현재 조총련 기관지 조선신보사를 비롯해 22개 산하단체가 입주해 있는 초과밀 상태여서, 중앙본부의 기능과 인원이 다른 곳으로 분산 이전될 것이라고 조총련 소식통은 말하고 있습니다.
한편 조총련 중앙본부의 건물과 토지에 대한 입찰 가격의 하한가가 2천800만 달러 (26억6천 만 엔)로 고시됐지만, 인근 부동산 회사 관계자는 시가로 7천400만 달러( 70억 엔)를 호가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누가, 어떤 가격으로 조총련 중앙본부의 건물과 토지를 낙찰할 것인가가 큰 주목을 끌고 있습니다. 참고로 조총련은 이번 입찰에는 직접 참가할 자격이 없습니다.
일본 전문가들은 조총련이 30여년간 ‘주일 북한 대사관’ 또는 ‘일본속의 주체의 탑’으로 자처 해 온 중앙본부의 건물과 토지를 낙찰한다 해도 훗날 말썽이 생길 소지를 안고 있는 이른바 ‘사고 물건’이라고 보기 때문에 일본의 대기업이나 개인 자산가는 입찰에 참가하는 것을 꺼리는 경향이 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도쿄 후미쪼의 중앙본부가 야스쿠니 신사와 호세이 대학을 끼고 있는 교통의 요충지에 자리 잡고 있어 부동산 개발 회사와 건축 회사 등은 중앙본부의 토지 매입에 큰 관심을 갖고 있다고 내다보고 있습니다.
일본 언론은 또 작년 말 일본 통일교가 조총련 중앙본부의 건물과 토지를 낙찰하여 조총련에 다시 임차해 줄 계획이라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 통일교 본부가 이를 부인한 바 있어 통일교 측이 3월 하순에 치러질 입찰에 참가할 지는 아직 불투명합니다.
또한 재일본대한민국민단(민단)의 유지들도 조총련의 주도하에 북송된 재일동포 9만3천명의 한을 풀어 주기 위해 조총련 중앙본부에서 인공기 즉 북한 공화국 국기를 끌어 내리고 한국의 태극기를 올려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으나, 민단 계 유지들이 입찰에 참가할 지도 매우 불투명한 실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