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북한 당국이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러시아 방문에 때맞춰 모든 간부들에 비상 대기령을 발령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주민들의 이동도 제한해 장마당이 위축되고 물가도 크게 요동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서울에서 문성휘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북한 당국이 8월 15일을 전후해 모든 간부들의 출장을 중단시켰고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러시아방문이 시작된 20일부터는 기관책임자들과 당 비서들에게 비상대기령을 발령했다고 북한 내부소식통들이 전해왔습니다.
최근 연락이 닿은 양강도 소식통은 “광복절을 맞으며 8월 12일부터 시작된 특별경비주간이 아직까지 해제되지 않았다”면서 “김정일의 러시아 방문에 맞춰 기관장, 당 비서들에게 24시간 대기령이 내려졌다”고 밝혔습니다.
함경북도 온성군 소식통도 “8.15 이후 여행증명서 발급이 중단됐다”며 “그 때문에 한때 장마당 물가, 특히 식량가격이 오르면서 큰 혼란이 조성됐다”고 언급했습니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북한 당국은 광복절인 8월 15일을 앞둔 12일부터 특별경비 주간을 선포하고 모든 간부들이 현장에서 수해복구에 총력을 다 하라는 후계자 김정은 명의의 지시문을 하달했다는 것입니다.
그런가하면 인민보안부 역시 수해복구를 구실로 주민들의 여행증명서 발급을 제한하고 특히 국경연선 도시들과 평양, 남포, 평성시에 한해서는 당분간 가족들의 사망소식이 전해지더라도 여행증명서를 발급하지 않는다는 내용의 게시물을 각 보안서 2부에 내 붙였다고 합니다.
이러한 지시들이 연이어 내리면서 한때 주민들속에서는 ‘아리랑공연’을 관람하는 외국인들 때문에 평양시 주변을 통제한다는 소문이 나돌았고 야간통행을 비롯한 주민통제가 강화되면서 장마당 물가도 크게 오르는 등 혼란이 일었다고 소식통들은 언급했습니다.
하지만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러시아 방문 소식이 알려지면서 이러한 조치들이 김정일의 외국방문을 준비하는 작업이었음이 밝혀졌고 그후 비로소 장마당 물가도 진정되기 시작했다고 그들은 강조했습니다.
그런가하면 북한 당국은 이례적으로 김 위원장의 러시아 방문이 시작된 20일 기관장, 초급당비서 회의를 소집하고 러시아방문 소식을 신속히 알리는가 하면 군과 사법기관을 비롯한 모든 간부들에게 비상대기령을 발령했다는 것 입니다.
함경북도 소식통은 “기업소들마다 비상연락망 체계를 점검하고 지배인과 초급당비서가 교대로 경비성원들과 함께 공장경비를 강화하도록 지시가 내렸다”며 “특별경비 주간도 이달 말까지 연장됐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양강도 소식통은 기존에 잠복근무를 나가는 국경경비대들이 착용하던 자동보총(소총)도 최근에는 조별(2인 1조)로 한정씩만 지급된다며 탄약도 기존에 공탄(공포탄) 5발에 실탄 15발을 지급하던 것을 지금은 공탄 3발에 실탄 5발씩만 주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소식통들은 국경경비대에 대한 이러한 조치가 정확히 언제부터 시행됐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알지 못한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