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선심정책에 북 주민들 반응은?

0:00 / 0:00

MC:

북한의 김정은 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이 농부들에게 매년 인민군이 먹을 고기를 공급하도록 한 조치를 철회하라는 지시를 내리면서 일부 주민들이 새 지도자 등장 이후의 변화에 기대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탈북자 지원활동을 벌이고 있는 일본의 민간단체 ‘북조선난민구원기금’의 카토 히로시(Kato Hiroshi) 대표는 29일 자유아시아방송에 김정은 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이 최근 함경북도 온성 지역의 농부들로부터 여러 가지 명목으로 돈을 착취하지 말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말했습니다.

(

카토 대표

: 함경북도 온성의 소식통에 따르면, 김정은 부위원장이 그 동안 인민군에게 공급하기 위해 해마다 북한 농부들이 고기를 바치던 관행을 철회하라는 명령을 내렸습니다.)

김 부위원장이 농부들로부터 고기나 돈을 걷어 들이지 말라는 지시를 내린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 지역 주민들이 새 지도자 등장 후의 변화에 희망을 갖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어 지난 16일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의 생일에는 온성군의 각 가구마다 술 한 병과 비누 하나씩을 공급해 주민들의 환심을 샀다고 덧붙였습니다.

카토 대표는 또 북한 당국이 지역 간부들의 불법행위에 대한 중앙당 소속 단속반을 파견하고 조사하는 등 주민들에 대한 선심정책을 통해 김 부위원장의 지위와 권력을 강화하려 한다고 전했습니다.

(

카토 대표

: 김 부위원장이 주민의 삶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지역 관리들의 부정부패 행위를 단속하라고 지시했습니다. 그의 등장으로 새로운 변화가 나타나길 기대하는 심리가 있습니다. 아버지 김 전 위원장과 다르게 말이죠.)

카토 대표는 그러나 과거에도 이러한 선전선동용의 선심정책이 3개월 이상 계속된 일이 없어 주민들은 언제 이러한 조치가 다시 원점으로 돌아갈 지 의구심을 갖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한국의 대북인권단체 좋은벗들은 29일 자 소식지에서 함경북도 무산군의 주민이 중국과 통화하다 체포됐는데 그를 붙잡은 보안일군이 그의 가족에게 ‘인민폐 5천 위안을 내면 풀려날 수 있다”고 귀띔한 내용을 전했습니다. 북한의 보안당국은 불법 휴대전화를 사용하다 걸리면 죄질에 따라 최소 징역 3년형에서 무기징역까지 처할 수 있다는 엄포를 놓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편, 또 다른 대북 소식통도 2010년에 이미 김정은이 민심정치 차원에서 군량미를 걷지 말라고 함경북도 지역에 조치를 취했었다고 말했습니다. 당시 수해를 입은 이 지역의 협동농장에 할당된 군량미의 30퍼센트 정도를 감면 받았는데 군량미를 조달 받지 못한 군인들은 쌀을 내라고 윽박지르기도 하고, 이듬해 3월에는 영양실조자가 많아졌었다고 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