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최근 천안함 사건이 북한의 소행으로 밝혀짐에 따라 일본의 인권 운동가 켄 카토 대표는 북한에 대한 효과적인 제재 방법으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비자금 추적과 동결을 강력하게 촉구했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일본의 인권단체 아시아 인권의 켄 카토 대표는 북한의 돈세탁을 도와 이익을 취하는 미국의 금융기관이 있다면 이들도 천안함 침몰 사고에 부분적인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카토 대표는 따라서 미국은 애국법 311조의 대테러 금융규제 조항에 따라 북한 불법 비자금이나 돈세탁에 관련되었다고 의심되는 계좌를 즉각 동결해야 한다고 재차 촉구했습니다.
카토 대표는 미국 재무부의 스튜어트 레비(Stuart Levey) 테러 및 금융정보 담당차관을 비롯한 미국 정부 관리들에게 23일 자로 편지를 띄워 이같이 요청했다고 25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보낸 전자우편에서 밝혔습니다.
(I suggested that the US government make an announcement that banks who manage North Korean leadership's account or "suspicious account" will be subject to sanction under the USA Patriot Act)
(As you well know, Mr. Levey did the freezing of North Korean bank accounts at BDA and I hope he could freeze Kim Jong-Il's secret bank accounts in Europe this time.)
2005년 9월 레비 차관의 주도로 마카오의 방코델타아시아( BDA) 은행을 통한 위조지폐, 일명 슈퍼노트의 유통과 불법자금 세탁 혐의로 북한의 예치금 2천 500만 달러가 동결됐습니다. 카토 대표는 이와 마찬가지로 미국은 룩셈부르크 등 유럽에 숨겨진 것으로 추정되는 북한 정권의 비자금을 즉각 동결시키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레비 차관에게 요청했습니다.
카토 대표는 북한 정권의 비인도적인 행위를 중단시키기 위해 40억 달러로 추정되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비자금을 추적해 동결할 것을 유럽 각국과 미국, 캐나다 등에 끈질기게 요구해 왔습니다. 카토 대표는 특히 오스트리아와 유럽위원회에 과거 북한의 돈세탁 혐의를 조사할 것을 미국에 촉구했다고 전했습니다.
2004년까지 오스트리아의 금별은행 감사였던 권영록이 북한 김위원장의 돈세탁에 관여하고 있었다면서 이 사실에 대해 지금이라도 철저한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카토 대표는 주장합니다. 카토 대표는 권 감사가 지난해 김 위원장을 위한 것으로 보이는 호화요트를 구입하면서 오스트리아에서 기소를 당하자 북한으로 간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지난 5월 초에도 미국 유태인 인권단체인 사이먼 위젠탈 센터도 지지를 약속했다고 카토 대표는 설명했습니다. 카토 대표는 이스라엘의 국회인 크네셋(Knesset) 위원들에 북한비자금 동결운동에 동참해 줄 것을 요청해 "이란과 시리아와 핵협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 북한의 핵개발에 우려를 표명한다"면서 협조를 다짐받았습니다.(I share your concern of North Korea Nuclear capabilities as far as I know they were involved in the attempts to build such capabilities for Iran and Syria.)
카토 대표는 수년 간 영국, 독일 등 유럽국가와 호주, 캐나다, 미국 등의 정부와 의원들에게 북한의 불법 비자금 동결을 위해 스위스나 룩셈부르크 정부에 압력을 가해줄 것을 촉구해 국제사회의 긍정적 역할을 약속 받았습니다. 올 초에는 룩셈부르크 정부도 북한의 불법행위를 규제하기 위해 철저히 국제사회와 협력할 것을 다짐했다고 카토 대표는 덧붙였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