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북한 포격사건 대책본부 설치

0:00 / 0:00

MC:

일본정부는 24일 간 나오토 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북한 포격 사건 대책본부’ 설치하고 북한에 대한 제재 조치를 검토하기로 의견을 모았습니다.

도쿄에서 채명석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일본정부는 24일 오전 ‘북한 포격 사건 대책본부’를 설치하고 전 각료가 참석한 가운데 첫 회의를 열었습니다.

대책본부의 위원장인 간 총리는 이 자리에서 “북한이 민간인 거주 지역에 포격을 가한 것은 용서할 수 없는 만행”이라고 북한을 강력히 비난하면서 포격 사태의 진전에 대한 만반의 준비를 갖추라고 관계 부처에 지시했습니다.

간 총리는 이어 24일 오후 한국의 이명박 대통령과 전화로 회담하고 한국을 적극 지지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했습니다. 간 총리는 또 한미일간의 연대가 중요하다고 말하면서 유엔을 포함한 국제사회에 북한에 대한 응징을 요청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습니다.

한편 일본정부의 대책본부는 북한에 대한 제재 조치가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어떤 항목의 제재 조치가 가능한지를 각 부처가 검토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오카자키 공안위원장은 그 일환으로 조총련을 포함한 북한 관련 단체의 움직임을 예의 주시하라고 경찰에 지시했으며, 센고쿠 관방장관은 조총련 학교를 학비 무상화 대상에 포함시키는 신청 절차를 일단 중지시킬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일본의 문부과학성은 “학비 무상화 대상을 결정하는 데 있어 외교적 또는 정치적 배려를 해서는 안 된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받아들여 이달 말까지 10개의 조선 고급학교로부터 무상화 대상 적용 신청을 받을 예정이었습니다.

그러나 북한의 무력 도발을 이대로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이 대두함에 따라 다카기 요시아키 문부과학 대신은 24일 “북한에 대한 응징 차원에서 조총련 고급학교를 무상화 대상에서 완전히 제외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일본의 한반도 문제 전문가인 게이오 대학의 오코노기 마사오 교수는 24일 아사히 텔레비전의 뉴스 프로그램에서 “북한이 우라늄 농축 시설을 미국 전문가들에게 공개한데 이어 연평도에 포격을 가한 것은 2012년까지 김정은 후계 체재를 굳히기 위한 일련의 계산된 행동”이라고 분석하면서 “문제는 북한이 후계 체제를 굳히는 작업을 너무 서두르는 데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오코노기 교수는 그 이유로 김정일 위원장의 건강 문제를 지적하면서 천안함 어뢰 공격, 연평도 포격전과 유사한 북한의 무력 도발이 당분간 계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 봤습니다.

한편 미국의 원자력 항공모함 조지 워싱턴 호(9만7천톤 급)가 24일 아침 일본의 요코스카 항을 출항했습니다. 이지스 함 4척을 대동할 예정인 조지 워싱톤 호는 북한의 추가 도발을 막기 위해 서해에서 나흘 간 실시되는 한미 연합 훈련(11월28-12월1일)에 참가할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