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일본의 노다 요시히코 총리가 1일 다나카 게이슈 중의원을 새 납치문제 담당상에 기용한 데 대해 일본의 인권단체가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일본의 인권단체 ‘북한에 의해 납치된 일본인을 구출하기 위한 전국협의회’와 납치피해자 가족대표회는 1일 마쓰바라 진 납치문제 담당상의 퇴임에 항의하는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이 단체는 성명서에서 노다 총리의 납치문제 해결 의지에 의구심을 나타냈습니다. 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으로 납치문제와 관련해 기회와 위험이 공존하는 북한의 정세를 생각할 때 지난 1월 임명된 마쓰바라 납치문제 담당상이 최적임자이므로 교체할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다.
또 다른 일본의 대북 인권단체 ‘아시아인권’의 가토 켄 대표도 마쓰바라 담당상이 취임한 지 불과 9개월 만에 교체된 것은 순전히 정치적인 이유라고 1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말했습니다. 납치 문제의 전문가라고 할 수 있는 마쓰바라 담당상을 퇴임시킨 노다 총리의 정치적 선택에 일본의 대북 인권단체 관계자들이 매우 분개하고 있다는 주장입니다.
가토 대표 : 마쓰바라 전 담당상은 십 여년을 납치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해 온 일본의 대표적인 의원입니다. 저희 인권운동가들은 마쓰바라 담당상이 정치적 이유에서 희생됐다고 봅니다. (일본 국민에게) 중요한 납치 문제를 다루는 데 가장 적합한 인물을 담당상으로 기용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노다 총리는 1일 오전 임시 각료회의에서 일괄적으로 각료의 사표를 받고 이날 오후 새 내각 명단을 공식 발표했습니다. 이로써 노다 총리는 지난해 9월 취임한 이후 3번째 개각을 단행했습니다.
한국의 언론은 노다 총리가 총선을 앞두고 바닥으로 떨어진 내각 지지율을 높이고 한국·중국과의 영토 갈등으로 어수선한 정부 분위기를 일신하기 위해 각료 18명 중 10명을 교체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한편, 지난 29일에는 제2차 대전에서 일본이 패전한 후 처음으로 일본인 성묘단 16명이 북한 외무성 관계자의 안내로 일본인 유골이 매장된 평양의 묘지를 방문해 참배했습니다. 지난 8월 4년 만에 재개된 북한과 일본의 정부 간 접촉 이후 이루어진 결과로 보입니다.
가토 대표는 납치문제에 대한 일본인의 관심을 유골문제로 돌리려는 북한의 책략이 맞아 떨어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일본 내 인권단체 관계자들은 성명서에서 노다 수상과 신임 납치문제 담당상 등 관계자 전원이 하루 속히 납치 피해자 구출에 전력을 기울여 줄 것을 희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