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남북관계가 경색된 상황에서도 개성공단 내 북측 근로자의 수는 계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지난 2004년 말 공단을 가동한 이후 처음으로 북측 근로자 수가 최근 5만명을 돌파했다고 통일부가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개성공단 내 북측 근로자 수는 지난달 말 현재 5만315명이라고 통일부가 1일 밝혔습니다. 이명박 정부들어 113%, 그러니까 2만6천여명이 증가한 겁니다.
통일부 관계자는 “개성공단이 북측 주민들 사이에 인기가 높다”면서 “이직률이 낮고 근로자들 가운데 일부는 의사, 간호사 등 의료 자격증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연간 생산액도 4억 달러를 넘어섰습니다. 2007년 당시 연간 생산액이 1억8천만 달러였던 점을 고려하면, 현 정부 들어 2배 이상 증가한 셈이라고 통일부는 설명합니다.
이는 남과 북이 개성공단의 필요성을 모두 공감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서울에 있는 기업은행 경제연구소의 조봉현 연구위원은 설명합니다.
조봉현
: 이명박 정부 들어 남북관계가 악화되더라도 개성공단만큼은 유지하겠다는 정책적 의지, 그리고 북한의 입장에서도 개성공단을 통한 외화 확보, 이런 남북 간의 이해관계가 어느정도 일치하면서 개성공단이 발전해온 측면이 있습니다.
조봉현 연구위원은 또 개성공단 내 기업 수가 늘어나면서 근로자 규모와 연간 생산액이 자연스럽게 커진 측면도 있다고 지적합니다. 공단 내 기업은 이명박 정부 들어 55개가 늘어나 현재 123개가 가동중입니다.
통일부 관계자는 “근로자 수가 5만명을 돌파했지만, 123개 남측 입주기업의 수요 기준으로는 2만 명이 더 필요한 상황”이라고 밝혔습니다.
2004년 개성공단 가동 이후 지난해 11월까지 북측 근로자들에게 지급된 임금 총액은 1억9천358만달러로 집계됐습니다.
개성공단 북측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현재 110달러 정도이며, 남측 기업이 북측 당국에 달러로 지급합니다.
이 가운데 45% 정도는 사회보장금(15%)과 사회문화시책금(30%) 등의 명목으로 북측 당국에 들어가고, 55%는 북측 당국이 근로자들에게 북한 원화나 쿠폰, 즉 상품 교환권으로 지급합니다.
현재 개성공단에 근무하는 여성 근로자의 비율은 72%이며, 학력은 전원이 고등학교 졸업 이상이고, 대학 졸업이 9.5%, 전문학교 졸업이 8.7%입니다. 근로자의 연령대는 30~40대가 68%이고, 평균연령은 38.6세입니다.
개성공단은 남측의 자본과 기술, 북측의 토지와 인력을 결합해 2003년 6월 착공한 남북 합작 사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