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발언은 개성공단 폐쇄 뜻 아니다"

한국의 이명박 대통령은 하루 전 워싱턴에서 개성공단과 관련한 북한의 요구를 ‘무리’하다고 표현하면서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혀, 개성공단 폐쇄를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추정을 낳았습니다. 통일부는 이 대통령의 발언이 ‘개성공단을 안정적으로 유지, 발전시켜 나간다’는 정부 입장을 강조한 내용이라고 설명했습니다.

0:00 / 0:00

서울의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이명박: 개성공단 문제는, 북한이 무리한 요구를 해놓고 있습니다. 북한의 무리한 요구는 받아들이지 않을 것입니다.

이명박 대통령은 워싱턴에서 16일 열린 한미 정상회담 후 있었던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개성공단 근로자 임금을 월평균 300달러, 토지 임대료를 5억 달러 요구한 데 대해 “북한의 무리한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 대통령은 또 “북측이 지나치게 무리한 요구를 하면 개성공단 문제는 어떤 결론을 내릴지 현재로선 대답할 수 없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개성공단이 문을 닫으면 북한도 경제적 피해를 입게 된다는 점도 분명히 했습니다.

이명박: 이미 4만 명의 북한 근로자가 일을 하고 있습니다. 개성공단이 문을 닫게 되면 북한의 4만 명 근로자의 일자리도 없어지게 됩니다.

이 대통령은 이 같은 발언을 통해 개성공단을 폐쇄할 가능성까지 직접 언급한 셈이어서 오는 19일 개성공단에서 열리는 남북 당국 간의 3차 회담은 순탄치 않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했습니다.

하지만 한국의 통일부는 이명박 대통령의 발언이 ‘개성공단을 안정적으로 유지 발전시켜 나간다’는 정부 입장에 기초해 나왔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종주 부대변인입니다.

이종주: 정부도 여러 차례 말씀드렸던 것처럼 임금이나 토지 임대료를 비롯한 북한 측이 제기한 제반 사항들은 개성공단의 경쟁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협의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 기본 입장입니다.

이 부대변인은 ‘정부가 개성공단 폐쇄까지 검토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직답을 피하면서 “남북한이 모두 개성공단의 안정적인 유지 발전이 대전제라는 데서 출발해 협의를 진행해야 한다”고 말하고 “북한의 태도가 이번 금요일로 예정된 회담에서 어떻게 나오는지를 조금 더 지켜보면서 입장을 정리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북측은 19일 회담을 위한 남측 대표단의 출입 계획에 관한 동의서를 17일 보내왔고, 회담 준비를 위한 남측 선발대 인원 4명도 이날 오전 10시께 개성공단에 들어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