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현인택 통일부 장관은 "개성공단과 관련한 남북 간 기존합의는 지켜져야 한다"며 북한의 개성공단 토지 임대료 5억불 인상 요구 등을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15일 밝혔습니다.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에 참석한 현 장관은 입주기업들도 월 평균 임금 300달러를 달라는 북한의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는 형편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한국 정부가 입주기업의 손실을 보전해 줄 수도 없기 때문에 "기업이 이윤을 내지 못하면 공단을 유지하는 건 어렵다"고도 현 장관은 설명했습니다.
현인택: 결국 기업이 이윤을 내서 계속해서 생산 활동을 할 수 있느냐 없느냐가 가장 중요한 문제라고 저희들은 보고 있습니다.
현 장관은 또 월 평균 100달러 미만의 임금으로 운영할 수 있는 공단이 개성공단 말고도 다른 나라에 많다고 말했습니다.
현인택: 베트남,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전부 50달러, 40달러부터 60달러 사이에서 할 수 있는, 그리고 3통이 다 보장되고 투자 보장이 다 되는, 그런 국제적인 후보지들이 엄청나게 많이 있다는 점을 말씀드립니다.
현 장관은 한국 정부가 북측의 요구를 받아들이기 힘들다고 강조하면서도, 개성공단 근로자를 위한 기숙사와 탁아소, 그리고 출퇴근을 위한 도로 건설과 같은 북한의 요구 사항은 논의할 여지가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하지만 두 달 이상 북측에 억류된 현대아산 근로자 문제가 앞으로 있을 남북 당국 간 회담에서 한국 정부의 최대 관심사라는 점도 재차 강조했습니다.
현인택: 북한이 말로는 ‘우리민쪽끼리’를 그렇게 주장하면서도, 이런 문제를 이렇게 처리한다는 건 저희로서는 도저히 용납할 수 없다는 관점에서, 계속해서 북한에 대해서 이 문제의 해결을 요구해왔고, 앞으로도 그렇게 할 것입니다.
한편 통일부 천해성 대변인은 지난 11일 남북 당국 간 실무회담에서 토지 임대료 5억불 요구와 관련해 북측이 ‘쌀이나 비료 같은 현물로도 받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는 일부 한국 언론의 보도를 부인하면서, “당국 차원에서 대규모로 쌀과 비료 등을 지원하는 문제는 현재의 남북관계 상황에서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