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천안함 사태로 남북관계가 최악의 상황에 빠지면서 개성공단 입주 기업들의 피해도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입주 기업 대표들이 긴급 총회를 열고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천안함 사태로 남북관계가 파국으로 치달으면서 개성공단 입주업체들의 시름이 나날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상황이 극도로 악화되자, 개성공단기업협회는 3일 오후 서울 여의도에 있는 한 호텔에서 50여 명의 입주 기업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비공개로 긴급 총회를 열었습니다.
개성공단의 위기 상황에 대한 향후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서입니다. 주로 대북 심리전, 경협보험 개선, 그리고 체류 인원 제한 등의 문제를 논의했습니다.
대북 심리전은 현재 보류된 상태이지만, 남북관계의 상황에 따라 언제든 재개될 수 있어 입주 기업 대표들은 대북심리전 계획 자체를 백지화해 주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개성공단기업협회 배해동 회장입니다.
배해동: 물론 정부에서도 애로사항이 있겠지만, 원만하게 처리돼서 우리 기업인들이 개성공단에서 열심히 일할 수 있도록 부탁을 드리는 겁니다.
악화된 남북관계로 조업 차질을 우려한 거래처의 주문 감소가 이어져 최근 부분 휴업에 돌입한 업체까지 생겨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개성공단 한 입주 기업 대표의 말입니다.
기업 대표: 지금 가을 상품이 들어가야 하는데, 현재 바이어들이 불안하니까 발주를 주지 않고 있습니다. 원단 발주를 받지 못하면 앞으로 6개월 후에 도산할 수도 있어 갑갑하니까 이렇게 호소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
또 완전 철수라는 최악의 상황을 염두에 둔 기업인도 있었습니다. 이 기업인은 “남측에서 대북 심리전이 재개될 경우 북한 당국이 예고한대로 공단으로 가는 길이 차단되고 이는 사실상 공단 폐쇄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입주 기업이 개성공단에서 자진해서 철수할 경우 정부의 보험금을 받을 수 없는 문제가 생깁니다. 이 때문에 입주 업체들 사이에서 기업 활동의 어려움으로 자진 철수를 할 경우에도 보험금이 지급될 수 있게 관련 규정을 고쳐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날 비공개 회의가 끝난 뒤 열린 기자회견에서 배해동 개성공단기업협회장은 “개성공단 체류 인원에 대한 제한 조치를 해제해 달라”고 통일부에 요청했습니다.
배해동: 현재 정부에서 인원을 축소해서 기술자들이 들어가 있는데도 공장이 제대로 가동되지 않고 있습니다. 정부가 이것을 빨리 해제 해주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이에 대해 통일부 관계자는 자유아시아방송과의 전화통화에서 “기업들의 어려움은 알고 있지만, 신변 안전을 고려해 체류 인력을 축소한 만큼 당장 조치를 철회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밝혔습니다.
개성공단은 현재 121개 기업이 입주해 있으며, 이 가운데 절반 정도를 차지하는 후발 업체들이 한국 정부의 체류 인원 제한 조치로 생산 활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개성공단 체류 인원에 대한 제한 조치는 지난달 27일부터 실시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