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최근 북한의 핵실험을 비롯한 강경 조치로 개성공단에 입주한 기업들이 생산 차질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한국의 일부 언론에서 개성공단에 입주한 기업의 설비 철수가 잇따르고 있다고 보도해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이 언론은 3일자 보도에서 개성공단 몇몇 기업의 사례를 들면서 "개성공단의 폐쇄에 대비해 설비를 남쪽으로 옮기거나, 베트남이나 인도네시아 등 국외 생산기지를 살펴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개성공단에 입주한 다른 기업들도 설비 철수를 준비하고 있어, 자칫 연쇄 철수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그러나 통일부는 3일 기자회견에서 "북한의 핵실험 이후 개성공단의 일부 업체가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기업들의 설비 철수가 잇따르고 있다'는 일부 보도는 사실이 아니다"고 공식 부인했습니다. 이종주 통일부 부대변인입니다.
이종주: 해당 보도 중에 설비를 이미 철수했고, 지난 달 27일에 공장 가동을 중단했다고 보도된 ㅁ사의 경우에는, 해당사 관계자를 통해서 저희가 확인한 바로는 설비를 철수한 사실이 없고, 공장도 정상가동 중이라고 밝혀왔습니다.
이와 관련해 입주 기업을 대표하는 개성공단기업협회는 “사실 관계에서 조금 오해가 생긴 것 같다”면서 “최근 생산 활동의 차질로 기업들이 생산 활동의 일부를 남측이라든지 제3국에서 하려는 움직임이 있다는 소식은 들었다”고 했습니다. 개성공단기업협회 이임동 사무국장입니다.
이임동: 바이어들이 요구하는 게 있습니다. 북핵 실험이라든지 경색된 남북관계로 발생한 리스크(위험) 안정적인 납품을 위해서 생산 거점을 분산시키려는 것이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기업들의 설비 반출은 사실상 공단 철수의 전단계로 볼 수 있다”면서 “완전 철수라는 최악의 상황을 염두에 둔 입주 기업도 갈수록 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기업들이 개성공단에서 자진해 철수할 경우 정부의 보험금을 받을 수 없는 문제가 생깁니다. 이 때문에 입주 업체 사이에서 기업 활동의 어려움으로 자진 철수를 할 경우에도 보험금이 지급될 수 있게 관련 규정을 고쳐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