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한국계 미국인들이 미국 사회의 발전에 공헌한 점을 기리기 위한 미국 의회의 초당적 결의안이 통과 '초읽기'에 들어갔습니다. 특히 이번 결의안은 미국 사회에서 점차 정치력을 키워가는 한인들이 직접 미국 의회에 청원한 결과여서 주목됩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계 미국인들이 미국 사회에서 이제껏 쌓은 업적을 기리기 위해 지난 1월22일 제출된 연방 하원 결의안(H. RES. 1036)이 결의안 채택의 첫 관문인 상임위원회 상정을 위한 초읽기에 들어갔습니다.
스콧 가렛 (공화, 뉴저지) 미국 연방 하원 의원실은 1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미주 한인 결의안' 이 현재 공동 발의자만 50명을 확보했다면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가렛 의원실은 민주 공화 양당 의원 50명이 이번 결의안에 대거 공동 발의자로 참여한 만큼 곧 소관 상임위원회인 하원 정부감독개혁위원회에 상정돼 통과될 예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미주 한인 결의안'은 다이앤 왓슨 (민주, 캘리포니아), 프랭크 울프(공화, 버지니아) 의원 등 한인 밀집 선거구를 중심으로 민주 공화 양당 의원이 대거 공동 발의자로 참여했습니다.
결의안 상정을 가렛 의원실에 처음 요청했던 뉴욕 뉴저지 한인유권자센터 김동석 소장은 1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미주 한인 결의안'이 "미국에 사는 한인들의 정치적 중요성을 미국 의회가 다시 한번 인식하는 계기가 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밝혔습니다.
김 소장은 법적 구속력을 갖지 않는 결의안이긴 하지만 미주 한인사회가 이번 결의안 청원 활동을 통해 다시 한번 풀뿌리 민주주의의 힘을 보여줬다고 평가했습니다.
한인들이 밀집한 선거구를 지역구로 둔 가렛 의원은 결의안 대표 발의와 함께 최근 외교 문제를 전담할 의회 보좌관도 새로 임명해 미국과 남북한 간 관계를 중점적으로 다룰 계획이라고 김 소장은 덧붙였습니다.
한편, 채택 초읽기에 들어간 '미주 한인 결의안'은1903년 1월13일 미국 이민의 첫 장을 연 한인들이 그동안 예술, 과학, 기술, 의학, 정부, 군, 교육, 그리고 경제계에서 두드러지게 미국 사회에 공헌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한국계 미국인들의 미국 사회에 대한 이 같은 매우 소중한 기여를 모든 미국인이 잘 깨닫도록 연방 하원이 촉구하도록 결의안은 명시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