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한국 상품 유입 단속 대폭강화

0:00 / 0:00

MC:

북한은 최근 중국을 통해 북한으로 유입되는 남한 상품에 대한 단속을 더욱 강화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렇지만 남한상품을 주로 취급하는 변경상인들은 ‘지나가는 소나기’라면서 대수롭지 않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중국에서 김준호 특파원이 전합니다.

중국에서 북한으로 들어가는 남한상품의 매개지로 자리매김한 중국 선양이나 단동의 한국 상품 전문점에는 포장된 채 주인들에게 배송될 물건들이 쌓여 있는 것을 쉽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북한 상인들(주로 화교)이 이미 물건 값을 치르고 가게에 잠시 맡겨 놓은 물건들입니다.

중국 단동에서 한국 상품 도매점을 운영하고 있는 중국 조선족 김 모 씨는 “북한의 단골들이 이미 값을 치르고 아직 찾아가지 않은 물건들이 10만 위안어치가 넘는다”고 귀띔을 합니다.

그러면서 그는 “짧게는 며칠에서부터 보름이 넘은 것들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신의주의 대방과 무역을 하는 북한 출신 화교 진 모씨는 “신의주의 대방으로부터 중앙에서 비사그루빠 검열단이 내려와 검열 중이라는 소식이 왔다”면서 “그런 사정으로 인해 북한상인들이 검열이 끝날 때까지 남한 상품 반입을 미루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합니다.

진 씨는 또 “세관원들이 상인들에게 검열이 끝날 때까지 물건을 들여오지 말라는 언질을 주었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접경무역 상인들은 물건을 들여가면서 세관원들에게 뇌물을 고이고, 세관원들은 그 뇌물로 살아가는 공생관계인데, 검열기간엔 서로가 곤란해지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검열 소나기’를 잠시 피하고 있는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북한과 중국을 드나들며 보따리 장사를 하는 평양화교 류 모 씨도 “북한에서 남한 상품의 주 소비계층은 돈 많은 간부들과 그 가족들인데 남조선 상품 유통을 단속하는 주체도 그들(간부)”이라며 “이런 구조에서 단속이 제대로 될 리 없고 이는 ‘눈 가리고 아웅 하는 격’ 이라고 말합니다.

중국 선양의 남한상품 도매상 주인 박 모 씨는 “북한에서 언제 남한상품 사용을 허가 한 적 있느냐”고 반문하면서 “엄격히 단속 한다고 하지만 들어갈 것은 다 들어간다”고 밝혔습니다. 박씨는 “단지 화폐개혁 이후에 구매량이 화폐개혁 전보다 조금 줄어든 정도”라고 덧붙였습니다.

이어서 그는 “최근엔 남한상품임을 표시한 상표의 철저한 제거를 요구하는 경향이고 상표제거가 어려운 것은 그 위에 스티커 형태로 일본상표를 제작해서 붙여야 하는 경우도 있어 기분이 씁쓸하다”고 말했습니다.

남한 상품을 북한으로 들여가기 위한 이런 편법들을 북한 세관원들이 모를 리 없지만 뇌물을 받은 세관원들에 명분을 제공하는 일에 불과하다고 상인들은 설명합니다.

중국의 남한상품 도매상들이나 남한제품을 구매하는 북한상인들은 모두 “북한에서 한국제품을 애용하는 소비계층과 한국제품 유통을 단속하는 집단이 모두 지배계층에 속하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남한상품 단속은 공염불에 불과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